돌파력 - 스토아 철학에서 배우는 '스스로 운명을 바꾸는 힘'
라이언 홀리데이 지음, 안종설 옮김 / 심플라이프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의 개념을 현대적 개념으로 재해석 책이라고 한다. 책 전체의 메시지는 간단하다. 외부상황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그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마지막으로 이 상황을 어떻게 내면으로 받아들일 것인가. 록펠러나 링컨 같은 옛인물에서부터 스티브 잡스, 오바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의 이야기로 각 단계의 이야기를 뒷받침하고 있다. 쉽게 읽히는 반면 일본사람이 쓴 자기계발서 같은 느낌도 든다. 저자 소개를 보면 로버트 그린의 제자라고 하는데 로버트 그린이 쓴 권력의 법칙이 너무 두껍고 딱딱해서 읽다 말아서였을지도 모르겠다.


핀트를 조금만 바꾸면 요즘 많이 나오는 심리학 서적과의 구성과 그대로 오버랩 될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외부 환경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는 말그대로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어려운 상황이라고 포기하고 말것인가 위기를 바꾸면 기회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한단계 점프업 시키는 기회로 삼일을 것인가라는 질문에 전자를 선택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는 관점의 힘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고 누구 명언인지 기억은 안나지만 한쪽 문이 닫히면 반드시 다른쪽 문이 열린다는 생각으로 접근할 수도 있겠다. 두번째 파트를 읽으면서는 아우구스투스의 좌우명이었던 천천히 서둘러라(Festina Lente)가 딱 떠올랐는데 이 책에는 언급되지 않아서 약간 의아하기까지 했다. 정공법만이 능사가 아니다라는 부분을 보면서는 우회전략이라는 개념이 생각나기도 했고. 뭐 이 책도 결국에는 자기계발서라 이런 저런 개념들과 겹치는건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마지막 단계가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결국 내면의 힘을 기르는 것이 궁극적인 지향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순환논리의 오류일 수 도 있겠지만 사실 내면의 힘이 어느정도 이상이 되어야 외부 환경을 의연하게 받아들일 수 도 있고 당황하지 않고 차분하게 주어진 상황을 분석하고 적당한 액션을 취할 수 있지 않을까. 뜬금없이 전에 필사하는게 도움이 된다며 몇권의 고전을 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중 한권을 사놓고 비닐도 안뜯고 있는게 있었는데 명상록이 아니었나 싶다. 세네카였나... 하여간 오히려 명상록 원전과 더불어 스토아 학파 자체에 관심이 더 생기게 만들었던, 나름 유익하게 볼 수 있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