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2인자들 - 그들은 어떻게 권력자가 되었는가
조민기 지음 / 책비 / 201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책을 보든 내가 재미를 느끼는 부분은 내가 잘 몰랐던 사실을 알려주고 있는가이다. 아니면 알고 있는 사실의 배경 또는 이면을 들려주던가. 그런데 이 책은 그런면에서 내 눈길을 사로잡았다. 일반적인 역사서가 왕을 중심으로한 주변의 사건을 다루고 있다면 이 책은 왕 주변의 신하의 이야기를, 그것도 권력의 정점에 올랐다가 몰락하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특히 단편적인 결과만이 아닌 왜 주변사람이 그에게 그렇게 대했는지 등의 이야기들은, 단순히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먼저 목이 날아가기 전에 남의 목을 날려야만 했던 이야기들은 새삼스레 인간의 출세욕과 더불어 남들의 원한을 사지 않도록 착하게 살아야 겠다는 다짐을 하게 만들더라는.


차례대로 이성계, 정도전, 이방원, 하륜, 수양대군, 한명회, 임사홍, 김안로, 이준경, 송익필이라는 인물을 다루고 있는데 평균적인 역사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나로서는 하륜, 임사홍, 김안로, 이준경, 송익필이라는 인물에 대해 새롭게 알수 있던 기회가 되었다. 특히 이준경이라는 명신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서는 이 분이 왜 잘 알려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의아했는데 이분을 다룬 30페이지 분량이 부족하게 느껴질 정도였고 이이나 황희와 같은 급, 어쩌면 그 이상의 존경을 받아야 하는 분이 아닐까 싶기도 했다. 다른 두사람보다 남긴 저술이 약해서였을까. 아니면 당시로서는 조정의 안정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겠지만 결국 그가 왕으로 세운 선조가 욕많이 먹기로 손꼽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삼고 있는 좌우명이 중용인데 이분 또한 어느편에도 사사로이 서지 않고 조정의 화합을 위해 힘쓴 이준경은 정말 재조명될 필요가 있어보이더라는. 붕당의 시작을 염려하며 이이에게 했던 충고는 그 이이도 뒤늦게 그의 뜻을 깨닫고 반성하고 통탄했다하니 정말 놀라운 혜안이었다. 역사저널 그날 같은 프로그램에서 다뤄주었으면 하는 생각도 해본다. 


또 임사홍이라는 분도 흥미로웠다. 후세에는 희대의 간신으로 알려졌다는데(난 이 책을 통해서 알게되었지만) 이제보니 개인의 욕심이 만든 간신이 아니라 시대가 만든 간신이었다. 사람을 사람 그 자체로 보지않고 우리편인지 아닌지를 바탕으로 재단하는 그 시대속에서 어떤 인재가 제대로 실력을 펼칠 수 있었을 것인가. 그러고보니 오늘날의 정치판도 크게 다르지 않아보이기도 한다. 그나마 지금은 핏줄로, 스승이 누구인지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치노선 선택에 있어 자유의지가 있다는 점이 다행이랄까.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때려죽인 사람이 이방원 본인이 아니라 그 휘하에 있던 다른 사람으로 알고 있는데(잠깐 찾아보니 조영규라는 사람인듯) '이방원은 선죽교를 건너는 그를 무참하게 때려죽였다'라고 되어있어 정확성 부분에 살짝 고개가 갸웃거려진 부분도 있었으나 하륜이 수양대군에게 접근하는 과정(그러고보니 이사람만 실명이 아닌듯), 중종 또한 얼마나 무능한 왕이었는지 등 처세술과 더불어 한 나라의 왕이라는 존재가 갖는 의미에 대해 새삼스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던 책이었다.


아래는 중종의 실상을 표현한 부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