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 - 건축 너머의 세계를 향한 치열한 질문과 성찰 서가명강 시리즈 17
김광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의를 옮겨놓은 책이었기 때문인지 배움이 많았기에 옮겨둔다.


- 집은 외적으로부터 생활을 지키는 그릇이다.


- 근대 건축은 흰색을 가장 우월한 색채로 보았다. 언제 봐도 새 건물처럼 보이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르코르뷔지에의 사보아 주택은 사람이 살지 않는데도 언제나 새하얗다.


- 우리나라 건축법은 대지 하나에 건물 하나를 규제하는 법이다.


- 건축은 건축주의 욕망을 실현해주는 수단이다.


- 사람은 건축을 만들고 건축은 사람을 만든다는 윈스턴 처칠의 말에서 처칠은 building이라고 했지 architecture라고 하지 않았다. 그가 말한 우리는 국회의사당에서 토론하는 의원이지 사람을 뜻한 것이 아니었다. 그런데도 말이 멋있어서 사람들이 인용하는 것은 건축이 사람의 삶을 만든다고 주장하고 싶기 때문이다.


- 근대 이전에는 절대 군주가 지었을지라도 새 건축물은 '모두의 마음에 들었다.' 그 시대의 인간들은 그 시대의 건축과 하나였다. 그러나 근대 이후 오늘날 대부분의 집은 단지 두사람의 마음에만 든다. 건축주와 건축가.


- 자크 라캉은 '사람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는 말을 남겼다. 다른 사람이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고, 다른 사람이 가진 것을 갖고 싶어 한다. 욕망이 대상을 찾는 것이 아니다. 다른 사람이 욕망하는 것이 나의 욕망이 된다.


- 마사이족은 오래 정든 땅을 떠나 이주하더라도 새 땅에 고향의 언덕과 강의 이름을 가져다 붙였다. 켈트족은 조상이 있는 고향의 이름을 따 가족의 이름을 지었다.


- 프라이버시란 권리가 아니라 격리다. 오늘날 우리의 아파트도 가정의 프라이버시를 중심으로 격리된다. 심지어 집안에서도 다시 프라이버시를 얻으려 저마다 밀실을 갖는다. 도어록이 붙은 아파트 철문은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는 마지막 방어선이 되어버렸다.


- 테마파크나 쇼핑몰보다 훨씬 가까운 곳에도 헤테로토피아가 있다. 이를테면 '만화 카페'는 균질한 풍경 속에 있는 '다른 공간'이다.


- 1977년 도입된 선분양 제도로 건설 회사가 제품 경쟁력보다 원가 절감, 이윤 극대화를 추구했기 때문에, 30년 정도 지나면 안전을 위협할 만큼 내구성이 약해진다. 30~40년이 지나면 가치도 점차 0에 가까워진다. 한 세대가 지나면 주택도 없어진다는 말이다.


- 공간으로 기쁨을 주는 건축이야말로 소비되지 않는 건축의 첫번째 조건이다. 오래전부터 내려온 세계의 토착 건축은 용이나 강을 중시하되 미를 우선으로 여기지는 않았다. 그 중심에는 늘 '기쁨'이 있었다. '기쁨'은 공동체의 지표이며, 건축가와 사람들, 공동체 또는 사회를 잇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