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술의 세계사 - 한 잔 술에 담긴 인류 역사 이야기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정세환 옮김 / 탐나는책 / 202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술을 좋아하느냐고 물으면 긍정할 수 밖에 없는 나는 정작 술 자체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없었다. 새로운 술이 나오면 도전해보는 편이긴 하지만 소주나 맥주, 최근에는 막걸리에 한해서나 그렇지 와인이나 위스키 같은 양주는 접할일이 거의 없었으니까. 그러던 와중에 접한 이 책은 이 술들을 포함한 세계에 존재하는 별의별 술을 다 다루고 있어 내가 마시는 술의 폭을 넓햐봐야 하는거 아닐까 싶은 좋은 건지 나쁜건지 애매한 생각을 들게 해주었다. 


봉밀주, 와인, 마유주, 야자술, 황주, 일본술(청주겠지), 치차(옥수수술), 보드카, 위스키, 리큐어, 아라길주, 셰리주, 데킬라, 럼, 코냑, 샴페인, 진, 버번, 압생트, 그리고 종류도 다양한 맥주들 중 안마셔본 술이 얼마나 많았고 또 마셔보고 싶어지던지. 얼마전에 우연히 둘러본 와인앤모어에서는 별의별 와인, 그리고 맥주를 팔고 있던게 기억나 뭐라도 새로운 술을 사러 다녀와볼까 싶은 마음이 굴뚝같아졌다. 이 책은 서두에 마시기만 하는 술에 대해 책한권 써보는게 어떻겠느냐는 지인의 권유에 의해 쓰여졌다고는 하지만 이 책의 실질적인 기능은 이러한 지식의 공유보다는 새로운 술에 대한 도전의식 함양에 있지 않을까 감히 생각해본다.


안그래도 오늘 중고서점에 책을 십수어권 팔고 왔는데 그 돈으로 위스키까진 아니더라도 안마셔본 맥주에 도전해봐야겠다. 책에 대한 감상? 위에 쓰여있듯이 술생각나게 만드는 이야기들이다. 영국에서는 1700년대 중반에 들어와서도 식수 공급문제 때문에 술, 정확히는 진을 물처럼 마셔서 아이들이고 성인들이고 큰 문제를 일으켰다는 부정적인 이야기도 있지만 압생트 같은 술은 고흐를 비롯한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끼치기도 했으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제사장의 신내림을 증명하는 도구로도 쓰였다는 등의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실려있었던 술에 관한 꼬마역사, 꼬마상식을 담은 책이었다. 아, 1톤은 배에 와인을 싣는 단위인 한 통에서 왔다는 설과 그 통을 두드렸을때나는 통소리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고. 오늘이 토요일이면 좋겠다. 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