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형 인간 - 천재인가 미치광이인가
대니얼 Z. 리버먼.마이클 E. 롱 지음, 최가영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디선가 소개된 글을 읽고 재밌겠다 싶어 찜해둔 책이었는데 뒤늦게 읽었다.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있는 이 책은 제목에 정말 충실했다. 인간의 쾌락과 욕망에 영향을 끼치는 도파민이라는 존재는 어떻게 우리를 조종하는지, 그러니까 선택과 행동을 제어함으로서 다른 결과를 낳게 하는지에 대해 많은 실험결과를 통해 보여주고 있는데 기대이상으로 재밌었다. 딱딱하지 않았던 이유는 많은 사례들이 우리 생활속에서 주변에서 혹은 나를 포함한 우리 자신이 겪었거나 겪을 수 있는 사례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도파민이 많거나 부족하면 ADHD나 조현병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고 한다. 소위 책이나 드라마, 영화에서 등장하는 천재들의 사회성 결여 같은 성격적 결함의 근본 원인을 도파만에게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과도한 음주, 게임에 빠지거나 운동에 과몰입하는 것, 음식을 끊임없이 섭취하는 것 등도 이를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으니 도파민이야말로 인생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 부를만 했다. 이를 조절할 수 있느냐는 물론 다른 문제겠고.


확실한것 하나는 소위 튀는 사람들은 도파민이 평균 이상으로 분비된다는 사실이다. 이 책의 부제인 '천재인가 미치광이인가'에서 어딘가로 갈리긴 하겠지만 그래도 평범한 누군가로 사는 것보다는 나아보이는건, 그래서 살짝 부럽기까지한건 나만이 느끼는 감정일까. 모험, 다른 선택, 새로운 연결에서 창조와 미래의 씨앗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더 생산적인 일에서, 다른 선택에서, 남들이 생각지 못한 접점을 찾아내는 일에서 지금보다 더 도파민 뿜뿜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