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없다의 방구석 영화관 - 영화를, 고상함 따위 1도 없이 세상을, 적당히 삐딱하게 바라보는
거의없다(백재욱) 지음 / 왼쪽주머니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튜브를 즐겨보는 편은 아니지만 전에 추천받아서 영화소개 영상을 몇편 재밌게 보았던 기억이 있다. 망한 영화만을 리뷰한다는 걸작선이라는 시리즈는 책에도 밝히고 있듯이 유명하고 잘만든 영화는 많은 이들이 다루니까 반대로 가겠다는 의도와 잘 맞아 떨어져 꽤 인기를, 그러니까 구독자를 모으고 있었다. 요즘은 안하지만 즐겨보는 방구석 1열이라는 프로그램 초창기에도 자주 영화요약 소개자로서 등장해 익숙한 분들도 많을듯. 


보통 이런 책은 영화단위로 한꼭지씩 풀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지 않았던 점이 참신했다. 필요에 따라 영화 두세편 정도를 묶어 비슷한 포인트를 중심으로 자기만의 스토리와 엮어서 글을 풀어가는데 영화 칼럼과 에세이를 자기만의 화법으로 잘 버무린 비빔밥 같은 느낌이랄까. 이니셜 처리된 은어와 특유의 말투가 양념처럼 어우러졌다. 절반정도는 못본 영화였는데 특히 저자가 좋아한다는 호러영화는 한편도 본게 없어서 그간의 호러공식을 깨뜨렸다는 스크림이나 케빈인더우즈 같은 영화관람을 한번 도전해볼까 싶은 생각도 들게 만들었다. 호러장르가 상대적으로 저예산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도, 그래서 히트한 호러영화는 제작비의 수십, 수백배를 벌어들인다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되었고.


잘 만든 영화일 수록 구구절절한 설명이 필요없다라는 사실을 로스트 인 더스트라는 작품을 통해 설명해 주는 부분도 인상적이었다. 회상씬으로, 주인공의 나래이션으로 설명해주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간의 대화 몇마디를 통해 관계와 배경, 히스토리까지 이해하게 만드는게 시나리오와 감독의 역량이기 때문이다. 얼마전에 본 승리호 같은 경우에도 재밌게 보긴 했지만 갑자기 주인공들의 과거에 어떠했는지 친절하게도 개인별 자료화면을 통해 보여주는 부분이 조금 거슬렸던게 이런 이유 때문일 듯.


아는 만큼 보이는건 예술작품이든 답사지든 영화든 마찬가지다. (마찬가지일 것이다라고 쓰려다가 문득 이렇게 종결어미를 써버릇했던게 안좋다는걸 깨달았다.) 이 때 '아는 만큼'의 수준을 높이는 수단은 대부분 책이나 인터넷 같은 활자인 경우가 많을텐데 그게 바로 책을 가까이 해야 하는 이유일 것이다...아니 이유다. 근 시일 내에 여기 언급된 영화를 한편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