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투스 - 인간의 품격을 결정하는 7가지 자본
도리스 메르틴 지음, 배명자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아비투스Habitus는 '가지다, 보유하다, 간직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habere에서 파생한 단어라고 한다. 태어나 자라면서 경험한 모든것이 만든 가치관, 선호, 취향, 행동방식, 습관 등을 통칭하는 표현. 인문학 서적으로 생각했는데 이러한 아비투스를 재료로 쓴, 직설적이다 못해 적나라하고 시니컬하기까지한 자기계발서였다. 약간은 거부감이 들 정도로. 이런 부분 중 몇가지 눈에 띄는 부분을 옮겨보자면.


- 고정 마인드셋에는 장점이 있다. 심리학자 가나자와 사토시의 연구에 따르면 가정에서 배운 틀을 고집스럽게 유지하는 사람들은 새로운 길을 가는 사람보다 평균적으로 아이큐가 약간 낮다. 그 대신 더 만족스럽게 살고, 가족과 친구를 더 많이 돌보고, 더 많이 번다. 오스트리아 기자 에리히 코키나의 말 처럼 모두가 말괄량이 삐삐일 필요는 없다. 아니카와 토미도 삐삐만큼 중요하다. '아니카들이 계속해서 현상 유지를 해줘야' 삐삐도 있을 수 있다.


- 칭찬에는 교묘한 암시가 숨어있다. 칭찬하는 사람은 칭찬하는 대상과 자신을 같은 수준에 둔다. 


- 부자들 중 88%가 하루 30분 이상 독서를 하며 주로 전문서와 비소설, 위대한 인물의 전기를 읽는다. 가난한 사람들은 훨씬 적게 읽고 주로 머리를 식히기 위해 책을 읽는다.


- 취향이란 우리가 좋아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좋아하지 않는 것도 취향이다. 그래서 같은 행동이나 소비 제품이라도 사회적 지위에 따라 완전히 다르게 평가된다. 예를 들어 오디션 프로그램 참가자는 주로 젊은이와 교육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관심이 높다. 탈락한 다수의 후보자는 참가만 할 수 있다면 팔이라도 자르고 싶겠지만 상류층은 때때로 그것을 천박한 일로 분류한다.


중간중간 인용된 격언들도 시니컬하다.  '나는 어렸을 때, 돈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믿었다. 나이가 든 지금, 나는 내가 옳았음을 안다. -오스카 와일드', '돈만으로는 행복을 만들 수 없다. 하지만 지하철에서 우는 것보다는 택시에서 우는게 더 낫다.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독일 문학 교황이라고 불리는 분이라고)' 등. 아무튼 통계나 연구결과는 그렇다치고 뭐 대충 다 맞는 말이긴 한데... 이상하게 남들에게 추천하기는 꺼려지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