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하는가 - 에리히 프롬 진짜 삶을 말하다
에리히 프롬 지음, 라이너 풍크 엮음, 장혜경 옮김 / 나무생각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인간은 자연의 변덕이다. 유일하게 자기 자신을 자각하는 생명체이다.


- 타인과의 관계는 매우 다양한 모습을 띨 수 있다. 전형적인 형태가 복종이나 권력 행사 혹은 마케팅 지향일 것이다. 마케팅 지향 관계는 시장에서 소비재를 교환하듯 지속적인 교환으로 이루어진다.


- 사실 모든 문화는 질병에 대한 자신만의 이데올로기를 갖는다. 새뮤얼 버틀러는 풍자 미래 소설 <에레혼Erehwon>에서 그것을 멋지게 표현하였다. 그곳에서는 감기가 걸리면 우울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우울하면 감기에 걸렸다고 말해야 한다.


- 우리는 영원한 소비자이다. 우리는 담배, 술, 강연, 책, 영화, 인간을 소비한다. 우리는 아이가 부모에게서 필요로 하는 사랑도 아이에게 필요한 신제품처럼 이야기한다. 우리는 엄청난 풍요 속에서 살아가는 수동적 소비자이며, 젖병과 사과를 기다리는 영원한 신생아이다.


- 인간의 본질을 만드는 것은 대답이 아니라 질문이다.


- 데카르트는 자유의지를 더 나은 길을 알면서도 최악의 길을 가도록 우리는 유혹하는 힘이라고 정의했다.


- 우리는 존재를 추구하지 않고 소유를 추구한다. 많은 경우에서 소유가 존재보다 더 강한 현실성을 갖는다. 자신을 소유자로 소외시키는 우리는 우리의 소유물일 뿐 인간 인격으로서의 자신이 되기를 중단하였다.


- 인간은 자신의 인격을 온전하게 완성할수록, 다시 말해 '자신을 더 잘 꿰뚫어볼 수록' 더 강해진다. '너 자신을 알라' 이것은 인간의 힘과 행복을 목표로 하는 기본 계명이다.


- 사람들이 명소를 찾을 때도 실제로 그들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은 사진으로 수도 없이 보았던 풍경에 불과한 경우가 적지 않다. 그들은 '그들'이 그 명소를 보고 있다고 믿지만 사실 그들의 눈앞에 펼쳐진 것은 그 명소의 모사품이다. 어떤 사고의 목격자가 되는 경우에도 사람들은 신문이 보도를 하게 될 방식대로 그 상황을 보고 듣는다. 실제로 적지 않은 사람들이 자신이 직접 겪은 체험, 직접 본 예술 경험, 직접 참석한 정치집회를 신문 기사로 접한 후에에 비로소 '실제'로 느낀다.


따로 감상을 남길 요량이 없어 읽으면서 표시해둔 부분을 옮겨적는 것으로 마무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