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 가는 AI vs 교과서를 못 읽는 아이들 -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교육 혁명
아라이 노리코 지음, 김정환 옮김, 정지훈 감수 / 해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한 교수가 도로보군이라는 AI로봇을 만들어 대학입시 시험에 합격시키는 프로젝트를 담은 책이다. 커즈와일이 AI의 능력이 인간을 넘어서는 순간을 특이점이라고 표현했는데 그 특이점을 넘어서기 위한 한걸음을 시도해봤다고나 할까. 그런데 내용은 예상밖이었다. 한계는 있었지만 성과또한 분명했고 언젠가는 성공할 것이다라고 희망적인 메시지로 끝맺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만든 AI이기에 머신러닝이나 딥러닝도 한계가 있으며 대학입시 문제의 경우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하기에 불가능할 것이라고 단언하고 있었기 때문.


사람은 기본적인 지각을 갖춘 어린아이어도 강아지와 고양이 사진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기계는 그렇지 못하다. 아무리 많은 데이터를 넣어도 통계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인데 지금도 각종 사이트에 신규가입하거나 비밀번호를 잊은 사람들이 다양한 이미지테스트를 통해 이 데이터를 구축하는데 일조하고 있지만 인간만큼의 정확성을 갖는 판단력을 갖추기는 저자의 판단으로는 요원한 일이라는 것이다. 딥러닝을 벗어난, 그러니까 통계학적인 방법론을 벗어난 전혀다른 방식의 직관을 터득하기 위한 방법론이 개발, 적용되면 모를까.


후반부에서는 저자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협력하여 만든 AI가 대학입시 시험문제를 풀어본 데이터와 더불어 일본(우리나라도 비슷할 것이다.) 학생들의 문해력에 대한 문제를 담고 있었다. 도로보군은 도쿄대 입시에는 통과하지 못했지만 일반적인 대학에는 합격할 수 있을 정도의 문제 풀이 능력을 갖추는데는 어느정도 성공했다. 다만 문제풀이 방식이 사람과는 전혀 달랐는데 문제의 의미를 이해했다기 보다는 문제와 보기에 실린 키워드를 바탕으로 사실 판단 여부를 확률게임으로 분석해서 최적의 보기를 골라내는 방식이었다. 당연하게도 사람은 절대 따라할 수 없는 방식. (그러고보니 이 도로보가 문제풀때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였으려나? 만약 그렇다면 형평성 문제도 있을 듯.)


아무튼 이렇게 배워나가는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점차 위협해오고 있다는게 더이상 먼일이 아니게된 요즘,(최근 국내 소설로도 번역되어 출간된 한자와 나오키도 더이상 존재하기 어려울 것이라 말한다. 대출담당자가 AI로 바뀔것이기 때문에. 또 팬데믹 때문에 언택트 기조와 더불어 더 가속화 될 가능성도 높다.), 인간은 다른 차원에서 그 존재가치를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저자는 테스트 결과 학생들이 반복적 문제풀이에 익숙해져 있어 문제 자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는데 이는 반복적 문제풀이를 통한 기계적 학습, 즉 진도에 맞춘 반복연습을 제공하는 AI를 활용하는 학습이 이렇게 만들었다며 우려하는 부분이 일리가 있는 것 같으면서도 내게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기도 했다.


출간된지 일본기준으로 2년 반정도, 우리나라 기준으로 2년 가까이 되었지만 그간 드라마틱한 변화는 없었고 그 사이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주제를 다룬 책이 몇권 나오긴 했지만 (이지성씨의 에이트나 안상헌씨의 새로운 공부가 온다 등) 충분히 일독할만한 가치가 있었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