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앞을 내다보는 선택을 하는 법
스티븐 존슨 지음, 강주헌 옮김 / 프런티어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가 아닌 선택에 관한 책이었다. 물론 선택의 결과또한 미래라고 볼수 있지만 생각했던것과 초점이 달랐달까. 그래도 저자의 전작들을 나름 재밌게 본 기억이 있어서(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오는가, 원더랜드 등) 꾸역꾸역 보긴 했는데 아무래도 대충 아는 내용이 많이 보여서인지 집중하기는 쉽지 않았다. 대니얼 카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에서 나오는 시스템1 사고와 시스템2 사고, 개리 클라인의 직관관련한 책(제목이 생각안나는데 사전부검 같은 개념이 나온 책이었나 그럴듯), 칩히스와 댄히스 형제의 자신있게 결정하라 정도의 책을 이미 본 사람이라면 나와 비슷한 감정일듯. 


그래도 오사마 빈 라덴을 사살하기 까지의 판단과 과정, 그리고 결과를 설명하는 부분을 보면서는 나름 흥미진진함을 느낄수 있었는데 얼마전에 영화 소개프로그램에서 보았던, 이 작전을 다룬 제로 다크 서티라는 영화가 생각나 영상으로는 어떻게 표현되었을지(없진 않겠지) 궁금해지기도 했다. 앞부분에 등장한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빈민가라는 '파이브 포인츠'를 보면서는 이를 배경으로 한 영화인 갱스 오브 뉴욕이 생각나기도 했고.


뭐 이건 책의 주제와는 크게 상관없는 이야기이고 어떤 선택에 있어 장점과 단점을 기록하고 중요도를 매겨서 더 높은 점수가 나오는 쪽으로 선택하라는 방법은 벤저민 프랭클린부터 썼다는 방법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다윈도 결혼을 할지 말지를 이 방법을 통해 결정했다는 사실은 신선했다. 시스템1, 2사고, 시나리오 플래닝, 사전부검 등의 방법 등은 앞서 언급한 책등을 통해 대략 알고 있는 내용이었고. (물론 이 책에서도 각 방법등을 깊게 다루지는 않는다.) 아, 디자인 샤레트design charrette라는 용어는 생소했는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해 비판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개방적인 심의과정을 말한다고 한다. 이는 악마의 변호인이나 다양성의 힘 같은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을듯.


제프 베조스의 70%의 법칙, 그러니까 완전히 확신할때까지 기다렸다가 판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성 수준이 30%까지 내려갔을때 결정을 내린다는 법칙을 보면서는 지난번 김미경씨의 책을 보면서 20%만 확실해도 행동으로 옮긴다는 부분이 생각났는데 어떤 판단이든 적절한 비율을 맞춰야 겠지만 비즈니스적인 판단이냐, 개인차원에서의 결심, 행동과 연관된 판단이냐에 따라 그 중심이 다르겠거니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다. 나같은 경우는 물론 더 많이 행동하고 경험해봐야 하는 쪽에 가까울 것이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아이디어 실현사례로 등장한 뉴욕시의 하이라인 파크를 보면서는 아직도 가보지는 못했지만 서울역의 그.. 고 박원순 시장님께서 유사하게 만든 고가도로 공원이 생각났다. 그분의 여러 업적들과 별개로 아름대운 가게에서 한학기 자원봉사를 한 경험이 문득 떠오른다. 흠.


각설하고 외삽의 오류, 레드팀의 운용, 숫자화 하지않으면 관리할 수 없기에 도출한 탄소절감 효과의 숫자화, 자율주행차의 각종 판단상황에서의 오류를 피하기 위한 위험규모와 확률, 위험값을 계산한 테이블 등이 눈에 띄었던 책이었다. 그러고보니 자율주행자동차가 대중화되어 여러 제조사에서 생산하게 되는 경우 트롤리 딜레마를 포함한 주행알고리즘은 제조사에서 각자 개발하여 탑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통된 가이드라인을 정해 공유해야 하는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근미래에 있을법한 일이려나. 책 말미에서는 소설을 읽으면 타인의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이 상승해 의사결정 능력이 좋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눈길을 끌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