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이유 - 김영하 산문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출간당시 샀던것 같은데 밀리고 밀리다, 아니 미루고 미루다 이제서야 읽고 끄적여본다. 저자가 여행을 좋아한다는 건 알쓸신잡 등을 통해서 알고 있었는데  여행작가가 아닌 소설가가 쓴 여행에 관한 산문은 확실히 다르게 느껴졌다. 여행에 관한 책을 많이 읽어보진 않았지만 여러 사진과 더불어 여행이라는 사건을 다루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제목만 봐도 알수 있는거 아니냐고 할 수 있겠지만 요즘 나오는 책들이 제목만 봐서는 알수 없는 경우도 많으니.


'계획한 모든 것을 완벽하게 성취하고 오는 그런 여행기가 있다면 아마 나는 읽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재미가 없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여행이라는 선택을 꼭 필요하지 않다면 선택하지 않는 삶을 살아왔다. 심지어 늦은나이까지 비행기도 한번 못타봤냐는 이야기를 우연치 않게 몇번 연속 듣게된 경험을 한지 얼마 되지 않아 무슨 생각인지 길을 걷다가 지나가는 공항버스를 잡아타고 인천공항인지 김포공항인지로 가서 바로 출발하는 제주행 티켓을 발권받아 바로 출발, 근처 번화가에서 한잔하고 다음날 바로 돌아온적이 있을 정도.


'생각과 경험의 관계는 산책을 하는 개와 주인의 관계와 비슷하다. 생각을 따라 경험하기도 하고 경험이 생각을 끌어내기도 한다. 현재의 경험이 미래의 생각으로 정리되고, 그 생각의 결과로 다시 움직이게 된다.'


이런 비유는 언제나 신선하다. 앞서 말한 경험은 생각을 따라 경험한 것이고 그 짧은 여행의 결과로 이런 체험은 두번할 필요는 없겠다라고 깨달은건 그 경험을 바탕으로 얻어낸 생각이기 때문. 다음번에는 조금더 계획을 하고 가야겠다라고 마음먹었었다. 그런데 엊그제 다녀온 주문진 또한 훌쩍 떠났고 2박3일간 숙소바깥으로는 편의점 말고는 거의 나가지 않아버렸다. 여기도 다음엔 조금더 계획을 하고 가야겠다라고 다시 마음먹었고.


방구석 여행자로 번역할 수 있는 암체어 트래블러라는 용어가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게된건 작은 수확이었다. 칸트는 남의 여행이야기를 듣고 책을 쓰는것을 넘어 지리학을 가르치기도 했다는데 스트리트뷰는 물론 박물관마저도 요즘은 가상현실로 간접체험할 수 있는 요즘(서울역사박물관에서 코로나때문에 관람이 어려우니 VR로 구경하라고 메일이 온다.), 여행의 본질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