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온의 기술 - ‘남을 위한 삶’보다 ‘나를 위한 삶’에 몰두하기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8년 5월
평점 :
지금까지 읽어온 이 분의 책은 대부분 사료집에 가까운 내용이었는데 이 책은 거기에 저자의 가치관을 조금 더 섞어넣은 인문학 에세이였다. 출간시기를 보니 나온지 2년쯤 지나서 본 셈인데 중간에 보았던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같은 책이나 '경계에 서다'같은 책이 생각날 정도로 재밌었다. 아니 오히려 앞서 두 책이 다소 자아에 포커스를 두고 있었던 느낌이라면 이 책은 사회와의 관계형성에 조금 더 비중을 두고 있어 저자의 특징이기도한 다양한 이론 및 자료들과 더불어 이런저런 일깨움을 던져주었는데 예를 들면.
- 많은 행동경제학 자료에서 접했지만 다시금 떠올린, 인간은 합리적 존재rational being가 아니라 합리화 하는 존재라는 것rationalizing being. 즉 우리가 비판하거나 비난해야 하는 부분은 사회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 사람이 면책을 위해 하는 합리화일 뿐, 개인 차원에서 자신의 평온을 위해 합리화를 하는 것은 당연하거니와 권장해야 할 일이라는 것.
- '책임의 개인화' 현상은 문명사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옳다거나 불가피하다는 것이 아니라... (중략)... 자기계발 붐은 능력주의 신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계발 보다는 능력주의의 허구를 비판하고 폭로하는게 나은 대안일 수 있다는 점. (약간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기도.)
- 책을 많이 읽을수록 자신이 무식하다는 것을 절감하게 되며 독창성에 대한 회의를 갖게 된다는 것, 반대로 그렇지 못한 사람일 수록 누군가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는 것을 모른채 자신의 독창성을 믿기 쉽다는 것. 그래서인지 나도 모르게 다소 지나칠 정도로 비판적으로 모든 사안에 접근하는 경우가 있어 경계하게 된다는 것.
보통 뒤로갈수록 힘이 빠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마지막 챕터 제목이 '포기하지 않는게 의지박약이다'라며 흥미를 끌 정도로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게 해주었던, 평온의 기술2가 나와도 볼 것같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