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총 균 쇠 (무선 제작)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너무나 두꺼운 책 불량에 두려움이 앞선 책이었으나 읽을수록 몰입하게 된 것 같다. 어느 정도 독서의 수준이 있거나 기초가 있는 사람은 꼭 읽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빨리 읽기보다는 차분한 마음을 가지고 되새김질을 하는 것이 이 책의 재미 같다.
총 균 쇠는 오늘날 세계에서 존재하는 문명의 불평등 원인을 생태지리학, 생태학, 유전학, 병리학, 문화인류학, 언어학 등에 의한 종합적인 접근을 통해 설명한 책으로 1부는 인간 사회의 다양한 운명의 갈림길, 2부 식량생산의 기원과 문명의 갈림길, 3부 지배하는 문명, 지배받는 문명, 4부 인류사의 발전적 연구과제와 방향 등 총 4부와 추가논문 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나 등으로 이루어 져 있다.
이 책은 전 인류 역사와 사회 집단 역사의 유사점을 근거로 많은 석학 등에게 어떻게 집단을 형성하고 운영하여야 하는지 의문을 제시하고 답을 찾게 하는 촉진제가 되었다.
그럼 나가 태어난 한국은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우리 민족의 역사성과 문물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과연 어떤 점을 보아야 하는지 나름 생각해 보아야 한다.
한편으로 일개 개인이 이렇게 광대한 자료를 다각도로 보고 글을 쓰기 위해서는 지식을 어떻게 습득하여야 할까? 절로 감탄사가 나온다 대단하다는 말로 가름한다.
그 동안의 나 자신이 보아온 시각과 생각하는 패턴을 돌이켜 보게 한다. 공부의 방법이나 살아가는 방법을 다시 재 정립할 피요가 있다. 주입식이 아닌 정말 생각하고 나름 느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지리적인 조건과 주변 환경을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환경적인 차이와 새로운 것이 대한 신속한 확산과 이동의 속도는 무엇을 의미할까
결국 통찰의 눈으로 보고 혁신을 하여야 하는데 과연 어떻게 하여야 할까 등을 생각하게 한다
이 책은 지구의 생선이 한 덩어리의 육지에서 점차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생각하고 지리적인 여건을 좌우와 상하로 생각한 것 같다.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의미는 무엇일까? 우리나라도 일부가 아닐까 지리적으로 좋은 조건을 가졌다는 생각을 하자. 이를 긍정으로 받아드리고 극복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해보자.
참으로 많은 내용을 보고 느끼고 쓰고 싶은데 미천하여 기억하는 것이 미미함에 마음 아프다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치 오랜 연구 끝에 인류사를 처렂한 분석한 20세기가 낳은 중요한 과학 저술이다
읽고 토론할 사람들이 많았으면 좋겠다. 과연 무엇이 중요한가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다시 한 번 더 읽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