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기로운 PM 생활 -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끄는 50가지 지혜 ㅣ 프로젝트 관리 총서 1
김병호 지음 / 소동 / 2025년 1월
평점 :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주관적인 리뷰를 했습니다.
프로젝트는 통상적으로 비용과 인력이 많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1-2천만원짜리도 있지만 큰건 수십억짜리 프로젝트도 많습니다. 큰기업일수록 그런 프로젝트가 많죠. 이런 큰 프로젝트의 경우는 여러회사가 컨소시엄을 이루어서 들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 PM의 역할을 더욱더 중요해지겠죠. 만일 프로젝트가 시간에 맞춰 완성되지 않거나 버그가 속출한다면 막대한 패널티가 물어줘야 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슬기로운 PM생활>은 30년 프로젝트경력의 현직자가 프로젝트는 지식보다 지혜가 중요한 것이며 프로젝트에 관한 50가지 질문에 지혜로운 PM은 무엇인가를 저자의 30년 경력을 이 책에 쏟았다고 합니다.

저자는 김병호 삼성SDS PM이십니다. 학력은 고려대 경형학과, KAIST 경영학과 석사를 하셨습니다. 삼성SDS에서 30년간 근무했고 <거꾸로 읽는 69가지 프로젝트 이야기><PM+P>,<고객 중심의 상품기획과 프로젝트 관리> 등의 책을 저술하셨습니다.

큰기업일수록 꼭 좋은 프로젝트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인간이 하는 일이라서 그런것이 겠습니다만 잘못된 프로젝트를 권력형, 생존형, 멍부형, 관료형으로 매트릭스로 판단을 합니다. 은 경영층과으 관계속에서 결정이 됩니다. 이를 줄일수있는 방안이 있어야 겠죠. 그래야 진짜 프로젝트를 할수가 있습니다. 유행하는 기술의 본질에 집중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며 프로젝트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는 조직이 없어지게 됩니다. 역량있는 인력의 확보와 PM의 열정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만약 가짜프로젝트라고 해도 그곳에서 살아남는 법은 저자의 최대의 팁일겁니다.

비효율적인 프로젝트의 낭비를 어떻게 줄일것인가. 항상 프로젝트팀은 고심하는 문제죠. 왜냐하면 기획낭비와 개발낭비를 줄여야 시간이나 비용을 줄일수가 있겠죠 우선순위를 정해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방향은 개발자들의 사기도 올려주는 요인이 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방법론을 결정할 때는 혁신성, 불확실성, 결과물 변경용이성, 결과물인도방식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프로젝트의 가동률을 올릴때는 대도록이면 업무규모를 적게 해서 변동의 크기를 줄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오랜 경험속에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혼동하는 용어들을 정리합니다. 추정과 약속의 차이가 중요하죠. 왜냐하면 잘못된 추정을 하면 약속에도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추정은 미래의 성과를 예측하는 거죠. 구체적으로는 추정은 공학이고 약속은 의사결정이라고 할수있습니다. 하지만 이 둘은 연결이 되어 있는거죠. 문제는 추정이 복잡한 과정이라는 거죠. 프로젝트에는 팀관리가 매우 중요하죠. 그래서 9개의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단계에 관한 것 리더십, 루틴 등 정리해야 할 논리들이 많습니다. 요구사항은 프로젝트의 시작과 끝입니다. 이를 위한 질문 5개를 던집니다. 질문갯수는 적지만 매우 굵직굵직한 정리입니다. 요구사항에는 평가모델로 MoSCoW모델, 가중치 평가모델, 가치비용매티릭스 등으로 설명합니다. 매우 중요한 모데들이겠죠.
저자가 프로젝트관리를 할때 필요한 사항을 항목별로 50가지를 준비했는데, 30년의 내공이 넘쳐나는 질문과 답변이었습니다. 다른 PM책들이 저자 말대로 지식을 전달하는 수험서같은 느낌이라면 저자는 50개의 질문을 통해 과정별로 업무별로 지혜가 묻어나는 질문과 답변을 통해 실무자체의 평가와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종료까지 꼼꼼히 살펴서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신청을 썼습니다. 주니어PM에게는 정말 필요한 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