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으로서의 문학
조영일 지음 / 비(도서출판b)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나는 소설을 읽지 않는다, 라는 문장은 왠지 문학적인 느낌이 든다. 실제로 나는 소설을 읽지 않는다. 소설 내지는 문학이라고 하면 하루키의 10억 선인세설이나 신경숙의 표절논란 같은 이미지가 떠오르는데 이건 손흥민의 FA이적이나 정유미,공유 열애설 같은 의미로 내게 다가온다. 이런 게 문학의 위기일까? 

  <직업으로서의 문학>은 평론가 조영일이 쓴 문단에세이. 문예지, 도서정가제, 문학진흥법, 문단 내 성폭력 등의 이슈를 통해 현재 한국문단의 여러 가지 표정이 묘사되어 있다. 지금 한국문학은 위기인가? 저자는 근대문학에 기대감은 없다고 하면서도 현재 한국문학은 일본문학의 식민지라고 서술하며 위기감을 표현한다. 여기서 먼저 저자가 집중하는 것은 문학을 한다는 것과 생계를 한다는 것의 성찰이다. 예술은 배고픈 직업이라는 이미지가 우리에게 익숙한 것이지만, 대부분의 문학인은 전업으로서 생계를 유지하지 못한다. 때문에 이들이 예술에 집중할 수 있도록 문학진흥법이 도입되었다. 그럴듯한 전개인데 저자는 여기에 의문을 던진다. 박정희시대의 문예진흥법이 우리 문학에 도움을 주었나? 경제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면 한국문학이 살아날까? 오히려 회복해야 하는 것은 문학에 대한 신앙아닐까? 저자가 일별하는 문학사는 특이하다. 문학은 원래 직업이 아니었으며, 8,90년대 이문열, 황석영 등이 등장하면서 전업이 이루어졌다. 문학성=상품성의 등식이 이루어지며 베스트셀러가 예술성이 있다는 환상은 이 때 퍼진 것이다. 동시에 대학교육이 대중화되고, 대학에 국문과, 문창과가 늘어나면서 문학에 관한 출판시장과 교육시장이 분화되었다. 역설적으로 출판시장이 아닌 교육시장에서 문학을 전업으로 하는 문학인이 늘어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문학으로 먹고 산 적이 없었다고 저자는 애기한다. 그리고 교육제도를 통해 재생산된 이런 문학에 대한 환상은 결국 전업작가는 되기 힘든데, 신춘문예에 지원하는 문청들은 갈수록 늘어나게 만든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지원은 보나마나 신경숙 표절사태에서 드러났던 문학권력만 공고히 할 것이다. 교육시장과 출판시장의 분화는 비평이라는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다. 교육시장에서 자신의 지분을 확보한 비평가는 문단 내에서 상대적으로 더 나은 입지를 확보하고 문학시장을 좌지우지하는 선생님노릇을 한다. 반면 출판시장에서 활동하는 비평가는 한국문학의 위기에 따라 조용히 사라진다.

저자는 문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학인의 자존감과 독립성이며 이들에게 가난은 숙명이라고 말하는 것 같다. 이런 독립성을 훼손하는 한 정부의 지원은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예전 청빈과 안빈낙도를 애기하는 선비정신 같은 것이 오히려 필요할 것이다. 저자는 근대 일본문학의 선구자들이 대부분 단명했는데 이런 태도가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암시한다.

 

  어찌 보면 저자가 애기하는 것은 초심으로 돌아가라라는 식의 고리타분한 애기인지도 모르겠다. 이 무신론의 시대에서 이런 태도는 종교적이기까지 하다. 이런 것을 감수할 생각이 없으면 아예 문학인이 되지 말라는 것일까? 좀 다른 애기인데 예전에 도서대여점이 늘어날 때 만화가들이 생계애기를 하며 이에 반발한 적이 있다. 한 만화가는 흙 파먹는 만화가를 그리며 예술은 배고픈 것이라는 말풍선을 달았다. “배고플 각오 없으면 소설 쓰지마라는 애기는 어째 폭력적으로 느껴진다. 직접 바둑 두는 것보다 옆에서 훈수하는 것이 편하지만, 바둑 두는 사람에게는 그게 얄밉게 보이는 것이다. 그럼 저자가 한국문학의 위기에 대하여 내놓는 대안이 있나? 저자가 건드리는 이슈 중에 도서정가제나 문예지 권력 같은 것이 있는데 이것을 건드리는 것이 저자는 대안일지도 모르겠다. 모르겠다,라고 한 것은 이 책이 전반적으로 소설을 읽지 않는 나에게 애매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게 저자의 태도 때문인지 내 견문이 짧기 때문인지 모르겠다. (후자쪽이겠지 아마) 여러 지면에 발표한 글을 책으로 묶은 것이라 논지가 일정하지 않고 논리의 비약도 가끔 있는 것 같다.(물론 내가 무식한 건지도 모른다). 그리고, 저자가 논지를 전개하는 가장 근본적인 전제인 문학이란 무엇인가”,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은 없다. 저자는 맨 마지막 꼭지에서 톨스토이의 예술론을 소개하며 의문을 던지는 것으로 이 책을 마무리한다.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은 문청이거나 문단 관계자들일까? 아니면 아직 문학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있는 일반 시민들일까? 예전에 프로 축구에서 승부조작이 일어났을 때 기사에서 요새 누가 축구 보냐, 이참에 K 리그 없애버려라라고 댓글을 본 적이 있다. 이 책을 읽고 내가 떠올린 건 이 댓글이었다. 그렇다. 한국문학은 위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