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받지 않는 삶
알렉상드르 졸리앙 외 지음, 송태미 옮김 / 율리시즈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 스님 , 정신과 의사가 마음과 관련한 여러가지 대화를 나눈다. 우리가 살면서 흔히 부딪히는 문제들, 흔하다보니 딱지가 앉아서 이제는 그냥 무심히 넘어가는 문제들에 관한 애기다. 우리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얼까? 왜 우리는 타인의 시선에 연연할까? 분노나 좌절같은 부정적감정과 고통으로부터 어떻게 자신을 보호할 수 있을까? 하루하루의 실천을 어떻게 해야할까?

 

  세 명의 대화를 기록한 책이다보니 이야기의 물줄기가 물 위에 떨어트린 물감처럼 사방으로 퍼진다. 말 한마디 마다 화자의 내공이 들어있어 내용을 곱씹게 되고 , 요약하기가 쉽지않다. 나는 책을 읽다 마음에 드는 문장을 필사하곤 하는데 이렇게 많은 문장을 필사하기는 "딜라이라마의 행복론" 이후로 처음인 것 같다. 상처받지 않는 삶, 그런게 가능할까? 이 책을 읽고 나도 마음의 고통이 사라지는 "한방"같은 것은 없다. (있다면 오히려 경계할 일이다.) 철학자, 스님, 정신과의사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바라본 진실을 각자의 어조로 말할 뿐이다. 전체적인 느낌은 불교적인 세계관이 짙게 깔려있다. (마티유 리카르는 스님이고, 철학자 알렉상드르 졸리앙은 기독교 신자이면서도 한국에서 참선수행을 하고 있고, 정신과 의사인 크리스토프 앙드레는 명상을 심리치료 기법으로 사용한다) 

  모든 것은 변하니 집착을 내려놓고, 자기 자신안의 진실한 나를 찾으라는 것이다. 그러한 나를 찾을 때 타인의 시선에 좌우되지 않고, 외부의 조건에 흔들리지 않는 용골이 튼튼히 박힌 배와 같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진정한 행복은 타인에 대한 측은지심에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에고의 쾌락이 아닌 내면의 평화라고 애기한다. 철학자가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이야기하며 물꼬를 트면(장애인이라는 정체성에 관한 갈등은 가슴에 절절히 와 닿는다) 스님인 마티유 리카르는 불교이론으로, 정신과의사인 크리스토프 앙드레는 좀더 현실적인 심리치료를 이야기하는 식이다. 추상적인 단어들이 많고 , 명상, 기도, 영적 수행같은 어찌 보면 미적지근 한 내용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

  하지만, 진부하다고 해서 전부 진실이 아닌 것은 아닐 것이다. 타인을 도울 때 우리는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있을지 모른다. 새로 나온 테슬라의 전기차를 사는 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정말로 우리를 구원하는 것은 복수가 아니라 용서일지도 모른다....

 

  결국 "상처받지 않는 삶"에 도달하는 비방같은 것은 없을 것이다. 저자들이 말하는 명상, 기도, 이타심 같은 매일매일의 실천이 있을 뿐이다. 철학자,스님, 정신과의사 모두 자신의 부족함을 털어놓는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책의 마지막 문장이다.

 

    "자유와 지혜, 깨달음에 한층 더 가까이 다가서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독자에게 보내는 감사의 글 중)

 

   그래요, 스님, 철학자선생님, 의사선생님, 저도 그랬으면 좋겠어요. 정말, 정말로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