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대단하다고 하지 마라
해릴린 루소 지음, 허형은 옮김 / 책세상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당신 책을 읽고 “내가 장애인이었다니” 라고 느꼈다면 당신은 화를 내실 건가요. 아니 분명히 그러시겠지요. 혹은 자신의 장애인 동지들과 “여기 병신 추가요” 하는 눈빛을 주고 받으며 저를 조롱하겠지요. 제가 스스로 장애인처럼 느낀 이유는 당신과 비슷한 방식으로 자신을 사고하기 때문일 겁니다. 당신의 글을 읽으면서 저는 저의 콤플렉스를 떠올렸습니다. 저 역시 당신처럼 자신의 몸에 만족하지 못합니다. 저는 지나치게 마른 몸을 가졌어요. 여름에는 반바지를 입기가 꺼려질 정도입니다. 음, 아마 여성분이기 때문에 이해하실지는 모르겠지만, 지나치게 체중이 적게 나간다는 것은 한명의 “남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 같아요. 쉽게 말해서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힘센 애가 목소리가 커지고, 그렇지 못한 아이는 위축되는 것과 같습니다.(남자들의 단순함은 다 아실거라 예상합니다) 아마도 그런 것이 지금까지 내 삶에 어떤 영향을 알게 모르게 미쳐 온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굵고 억센 팔다리와 가슴을 가진 사람을 왠지 믿음직스럽고 저런 사람들이 삶에 어울리는 것은 아닐까, 저런사람들은 별 회의나 고민없이 건강하게 살아가겠지, 삶에도 적성이라는 게 혹시 있는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돌이켜보면 당신처럼 저 역시 방어적이고 수비하는 자세로 지금껏 살아온 것 같은데 아마 “생존을 위한 수업을 하도 철저히 받아서 남의 뜻을 따르는 성향이 선택적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발휘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스스로를 받아들인다는 것, 쉬운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다른 사람의 평가기준으로 자신을 바라봅니다. 좋음과 나쁨으로 나누고, 좋음으로 자신을 끌고 가려고 합니다. 하지만, 장애같이 자신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것들은 결국 자기혐오와 무력감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겠지요. 그리고 타인에게 사랑받지 못할 것이라는 예감, 그것 역시 나에게는 큰 두려움이었습니다. 지금보다 더 젊었을 때 나름 비장한 마음으로 “혼자 겨울숲으로 가리라”고 다짐한 적이 있습니다. “만년이고 이만년이고, 버텨주지 까짓것”하고 생각했었지요. 자기비하가 지반을 뚫고 들어가 일종의 오기 비슷한 것으로 변해 다시 바깥으로 튀어나온 셈이었습니다.  저런 생각을 한 걸 보니 저 역시 청춘이었습니다.

  흠결이 있는 자신을 받아들인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저는 단순히 장애만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장애처럼 우리가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인종이나 국적같은것, 좀 다른 예지만 학벌같은 것도 비슷한 것 아닐까요. 세상이 나에게 찍어놓은, 내가 결코 바꿀 수 없는 낙인이나 딱지 같은 것. 그런 낙인이나 딱지 아래에서는 저는 영원히 결핍을 느낄 수 밖에 없습니다. 열거해 놓고 보니까 전부 차별과 관련된 문제네요. 흑인이 백인이 되고 싶어하는 것은 인종차별 때문이고, 명문대에 가고 싶어하는 이유는 학력차별 때문이지요. 장애인들이 자신을 혐오하는 이유도 결국 그들이 현실에서 받는 차별 때문일거라고 생각합니다. 누군가 서열을 만들고, 거기에 따른 차별을 만듭니다. 마,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것도 있을 테고, 온당치 못한 것도 있을 것이라고 일단 온건하게 생각해 봅니다. 감히 당신을 이해한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제가 느끼는 문제보다 훨씬 중요한 장애라는 문제를 (이렇게 말씀드리는 것도 모욕하는 것인가요) 당신에게 듣고서 오히려 저 역시 당신과 비슷하게 사고 하고 있는 지점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당신을 이해한다거나 공감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겪어보지 않은 담에야 어떻게 감히 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다만 어디선가 들은 브리콜라주라는 단어가 떠오르네요. 피아노의 천재는 피아노줄이 끊어지면 연주를 포기하는게 아니라 편곡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 당신을 인정하지 않는 말이네요. 타이핑을 하고 난 다음 웃음이 났습니다. 하하.

적어도 당신은 지금 당신의 몸을 오래된 친구처럼 바라보는 것 같습니다. 가끔 투덕투덕 싸움도 하고 단점도 보이지만, 그래도 정이 든, 이정도면 그럭저럭 괜찮아 하는 친구 말입니다. 언젠가 당신이 정말로 한 점의 티끌없이 무구한 눈으로 자신을 바라보길 바라겠습니다. 그것은 제가 스스로에게 원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 때에 아주 오래된 묵은 체증이 내려가는 듯한 시원함이 느껴질 것 같습니다. 근데 이상하네요. 분명 당신을 이해하지 못할 것라고 생각하는데 이 대목에서는 당신도 저와 같은 느낌일 거라는 예감이 드니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