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최전선 - ‘왜’라고 묻고 ‘느낌’이 쓰게 하라
은유 지음 / 메멘토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글을 쓴다는 것은 희뿌연 안개 뒤에 누군가 서 있는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안개 때문에 그 모습은 쉽게 보이지 않고, 두려움과 답답함을 불러일으킨다. 글로 밥벌이를 한다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아마 나와는 다른 유전자를 가진 인종아닐까. 소통불능의 외국인과 마주 대하고 있는 것 같은 이질감이 느껴지는 것이다.

 읽고 나면 소박하다는 느낌이 든다. 어깨에 힘이 들어가 있지 않다. 안개 너머의 누군가가 별게 아니라고 말하는 것 같다. "유혹하는 글쓰기"를 읽고 난 다음 '그래, 당신은 킹이니까'하고 지레 포기할 필요도 없다. 물론 문학을 전공했다거나 무슨 상을 수상했다거나 하는 애기가 없는데도, 이렇게 계속 글쓰기와 계속 엮이는 걸 보니 나와는 다른 운명인 것 같기는 하다. 저자에게 글쓰기는 자기를 재구성하는 수단이고, 외부와 자신의 경계를 잇는 접점인 동시에 자신의 외연을 넓혀나가는 통로이다.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기발한 발상과 풍부한 표현력이 아니라 자신만의 사유와 언어이다. 글은 결국 쓴 사람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저자는 자신의 깜냥을 벗어나지 말라고 충고한다. 자신이 살아오고 사유한 만큼 글은 나오게 되어 있다. 아마 유일무이한 글이 있다면 그 저자의 삶이 유일무이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글쓰기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수단이며, 삶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게 하는 수단이다. 또한 글쓰기는 외부와의 감응을 통해 새로운 외부를 발견하게 하고, 자신과 외부의 경계를 재구축한다. 저자는 말미에 인터뷰하는 요령을 소개하며 여기에 방점을 찍는다.

  글쓰는 비법은 나오지 않지만(그런게 있기는 한 건가?) 여러번의 실전에서 나온 팁들이 군데군데 박혀있다. 내가 건진 것은 시외우기와 낭독하기다.

  읽고 나서 내가 작가가 될 수 없는 이유를 떠올렸다. 저자에 비하면 나는 타인에 대해서 관심이 없다. 어떤 의미에서의 오만이다. 단지 자족적이기만 한다면 저자가 말하는 "삶의 경계를 흔드는 글쓰기"는 불가할 것이다. 거기에 비하면 저자는 아직 감정이 풍부한 것 같다. 그건 아마 저자가 자신의 외부에 대해 애정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 아닐까. 그런 외부에 대한 애정이 저자의 글쓰기를 풍성하게 해주었던 것 아닐까. 역시, 나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