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형님께서 권해주신 책을 읽어보았습니다. 형님께서도 제가 나잇값 못한다는 애기를 들으셨는지 이삼십대에 어울릴만한 인생론을 권해주셨더군요. 요새 멘토, 힐링 바람이라는데 이 분도 그런 멘토들 중에 하나인가 봅니다그려. 과연 약력을 보니 빠지지않는 학력에 한 분야에서 대가를 이룬게 치열한 경쟁을 앞둔 이들에게는 <서바이버>가 하는 말처럼 들릴 겁니다. 물론 아직 미욱한 저로서는 이 사람 말에 딱히 이의를 제기할 마음도 없고, 형님께서 보신대로 나잇값도 제대로 못하고 있으니 이 사람 말을 충분히 새겨야 할 듯 싶습니다.
“현재를 살아라”,“제대로 보라”,“자기자신 내부의 점을 이어라”,“권위에 굴복하지 마라” 등등 ..우리가 익히 알고는 있지만 실천은 하지 못하는 덕목들을 다시 재미있게 자기 체험을 곁들여 가며 풀어놓았더군요. 이 분은 특히 <주체적인 삶>에 관심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자존, 본질, 고전, 견, 현재, 권위, 소통,인생.... 저자의 이 여덟 단어들을 결국 주체성라는 한 단어로 수렴됩니다. 아마 “. 자신의 내부에 기준점을 잡고”, “동의되지 않는 권위들에게 굴복하지 않으며”, “현재 자신의 삶을 제대로 보는” 삶을 말하는 것이겠지요. . 역시 읽고 나면 이제 막 스타트라인에 선 마라톤 주자가 된 것 같은 기분이 드는 ,전의가 느껴지게 하는 책입니다.
 하지만, 배웠다는 식자들이 흔히 비하하는 자기계발서와 이 책과의 차이점은 뭔가요? 이 저자가 취하는 관점이 진보적(?)이기 때문인가요? 저는 이제 A를 하면 B가 된다라는 식의 “인과론”을 믿지 않습니다. A는 A일 뿐입니다. 만약 누군가가  A를 한다면 A밖에 할 수 없거나  A 그 자체가 가치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너무나 다양한 결을 가지는 현실에서 A가 B를 불러온다는 확신은 저는 더 이상 믿지 않습니다. 현실에서는 “자신의 내부의 점을 잇고”,“현재를 주시하며”,“본질을 추구”하고서도 교수가 되지 못하고, 책도 쓰지 못한 수많은 강판근씨가 있을 겁니다. 그런데도, 누군가 주체적으로 살기로 결정한다면 그것은 주체적이지 않은 삶이 그에게 삶이 아니기 때문이겠지요. 그가 만약 굴종을 피할 수 없는 상황과 맞닥뜨린다면 그는 차라리 죽음을 택할 겁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은 누군가가 “서바이버 박웅현이 기회는 언젠가 온다고 했으니 그 기회를 붙잡기 위해서 지금부터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겠다”라고 마음먹는 다면 그게 무슨 꼴이겠습니까.  그리고, 그 기회라는 게 뭡니까. 광고제 대상인가요? 광고제에서 대상을 받지 못해도 충만한 삶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또 하나 책을 읽으면서 못내 껄끄러웠던 것은 저자가 자신이 비판하려고 했던 외부의 권위를 다시 인용하는 것 같았다는 점입니다.“자존” 편에 인용된 강판근 교수가 교수가 되지 못했다면,이름난 책을 쓰지 못했다면 이 “자존”편에 인용될 수 있었겠느냐 하는 말입니다. 결국 권위를 비판하는 주장을 해 놓고, 자신의 주장의 설득력을 얻기 위해 , 자신이 비판하려 했던 외부의 권위를 다시 인용한 꼴 아닐까요. 사람들이 권위에 굴복하고 자존을 찾지 못하는 것은 주변의 환경이 그런 삶을 강요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제 좋은 말을 차고 넘치는데 왜 삶과 세상은 요지부동인지가 더 궁금합니다.
 저자의 원래 목적이 강의를 통해 사람들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면, 좀 더 깊이 있게 내용을 전개하는 게 더 낫지 않았을까요. 차라리 8개의 단어를 가지고 한 단어마다 한권의 책을 쓰는게 나을 듯 싶습니다. 그렇게 사람들의 귀에 못이 박히도록 애기 하지 않은 담에야 이 애기들이 사람들에게 체화되겠습니까. 읽고 나면 포만감은 들겠지만 당연히 바뀌는 것은 없겠지요.
 그나마 제가 책에서 위안을 느낀 대목은 저자가 40대를 “만혹”이라고 표현했다는 점입니다. 물론 서른평 아파트에 아내와 딸이 있는 저자의 처지가 저와는 심히 다르지만 말입니다. 솔직히 이 대목이 가장 웃겼습니다. 많이 오바하다면 정희진씨가 말한 “말하는 자의 위치성” 이란게 이런거 비슷한거 아닐까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궁금한 것이 지금의 이,삼십대들은 이 대목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하는 점입니다. 저 역시 그들의 삶은 귓등으로만 들었지만, 아마 이 대목에 가장 큰 위화감을 느끼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쨌든 한번 읽어볼만한 책이고 지도로 삼을 수 있을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좋은 책을 권해주시는 형님께 감사드립니다. 언제 찾아뵙겠습니다란 말로   맺고 싶지만 형님에게만큼은 빈 말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사람이란게 참 이상한 것이 마음은 형님을 뵙고 싶은데 ,이상하게 발은 떨어지지가 않습니다. 신경 써 주시는 형님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말 한마디도 버틸 수 있는 힘이 되나 봅니다. 형님이 주신 편지로 당분간은 버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밖은 이미 더위가 닥쳐왔지만 저는 아직 추운 겨울 속에 살고 있습니다. 내내 건강하십시오. 다시 연락드리지요.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