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하루키적으로 밀어붙이면 유즈는 매춘을 한게 아니었을까?  오월의 메이처럼 혹은 태업감는 새의 아내처럼.. 돈이 목적은 아니고 무슨 정신분석학적이고 고상한 느낌도 나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사실 매춘이라는 소재는 하루키 소설에 꽤 등장하는 것 같다. 태업감는 새의 주인공의 유사 매춘 체험. 제목은 잊어버렸는데 태업감는새와 화요일의 여자들에 나오는 단편에는  주인공이 직접 여자를 사는 장면도 나온다. 물론 쿨하고 다정하다. 따지고 보면 노르웨이의 숲도 결국 그런 이야기 아닌가. 나가사와 말 마따나 사랑하는 사람하고는 못하니까 따른 여자와 해결하는 것,, 이건 일큐팔사에서 후쿠스케 머리가 여자를 사는 것과 비슷하다. 근데 일큐팔사는 그냥 끝난 거임? 예전에 지하철에서 일큐팔사4 광고를 봤는데 동일본 대지진 이후로 쑥 들어가 버렸다. 음모론을 가동하자면 아마 출판계획이 잡혀있었던 일큐팔사4권이 대지진 이후로 하루키가 폐기해 버린거다. 상황이 바뀌어 버렸으니까..하긴 3권이 좀 유치하긴 했다. 내가 읽어본 하루키 작품 중에선 제일 유치했다. 따지고 보면 1,2권도 말이 너무 많았지. 암튼 에반게리온 마냥 신비전략은 여전하다. 태엽감는 새,해변의 카프카 부터 이런 스타일이 시작이었던 것 같은데 이제는 쫌 식상한 느낌도 들고 건성건성 읽게 된다.  어찌 보면 다른 사람과의 공감이 부족한 자족적인 사람이 누군가에게 마음을 여는 이야기 같기도 하고(마지막 장면은 노르웨이의 숲의 전화장면과 겹친다)  그리고, 이 자기페이스대로만 사는 이 주인공의 모델은 분명 하루키 자신. (이 사람은 소설가 안됐으면 뭐 하면서 살았을까. 모르지 다방도 한 적 있긴 하지) 

 아무래도 하루키라는 작가는 현대라는 시대의 숨겨져 있는 무언가를 발견하는 능력이 탁월한 것 같다. 그러니까 공감지수가 높아지는 거겠지 이거 내 애기 아냐 하면서.

근데 거기서 더 나가지는 못하는 것 같기도 하고.... 그래서 읽고 나면 알 수 없는 허망함 같은 게 느껴진다. 마치 멋진 구름위를 걷고 난 기분이랄까. 혹은 솜씨좋은 마술사의 공연을 보고 난 느낌이랄까. 마술 볼때는 좋았지만 끝나고 나면 현실은 그대로니. 

여튼 아저씨 그래도 저는 아저씨가 좋아요  옛날엔 정말 내 청춘의 책이었다니까요 지금은 좀 시큰둥해졌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그 정도 의미를 가진다는 게 얼마나 대단한 일인가요. 더군다나 아저씨는 바다 건너편에 사는데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