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자, 내 아이를 해치는 달콤한 유혹
안병수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찌 보면 간단한 이야기다. 과자만드는 회사에서 근무하던 저자는 이유없이 몸이 아팠고 그 이유가 과자를 비롯한 가공식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회사를 그만두고 가공식에 관해 공부하게 되면서 자연히 자연주의자가 되었다는 애기다. 전부 다 알지만 끊기는 어려운 가공식품 이야기이다. 나로서는 조엘 샐러틴의 말이 떠올랐다. 환원주의가 토양을 망친다고. 기계론적인 관점이(예를 들면 NPK 농법같은) 자연을 망친다는 것이다. 원자나 분자로 대상을 분해하는 게 아니라 상호작용을 하는 전체로서 자연을 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런 면에서 NPK 농법은 토양을 망친다. 토양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대해서 우린 아직 잘 모른다. 조엘 샐러틴은 자신의 농장을 그런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순환방목시킨다. 재미있는 것은 저자가 영양소를 바라보는 관점도 그런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연에서 특정 성분을 추출해서 가공식품에 집어넣으면 우리 몸에 해를 끼친다. 하지만, 그 성분을 원래 있던 자연의 다른 성분과 함께 섭취하면 해가 없다. 우리가 토양의 상호작용을 잘 모르 듯 이러한 상호작용을 잘 모른다. 과학은 그저 한 가지 단면만을 파악하고 그걸 단서로 앞으로 나아갈 뿐이다. 그래서, 비타민 같은 특정 성분의 보조식품이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고 한다. 재미있는 것은 포텐거의 고양이 실험이다. 유해 성분을 고양이에게 투입했더니 당대 뿐 아니라 당대에 영향이 없어도 그 후대에까지 인과응보처럼 영향을 미치고 결국에는 씨까지 말라 절멸하더란 애기다. <칠드런 오브 맨>이란 영화가 생각났다. 올드독이 추천하다던데, 인류의 씨가 말라  지구상에 남은 단 한명의 아기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활극이다. 그러고 보면 스티븐 호킹도 언젠가 인류는 멸망할 거라고 했다던데 아마 화학물질이 인류멸망의 <히든카드> 아닐까. 수영장을 쌀로 가득 채운 후 그 쌀 한톨 크기의 유해 성분으로도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 쯤되면

정말 <슈퍼 히든 카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