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폴란은 "잡식동물의 딜레마"에서 조엘 샐러틴의 농장이 자급자족의 세계를 이루고 있었다고 묘사합니다. tv도 없고 홈스쿨링 교육을 하고 먹을 것도 직접 기르기 때문이었죠.

조엘 샐러틴은 딱히 반문명주의자거나 반자본주의자는 아닙니다. 단지 순환방목을 통해 자신의 목장을 유지해 나가는 농부입니다. 그가 반대하는 것은 주로 거대식품산업이나 무늬만 유기농인 <유기농제국>, 미국 연방정부 정도 입니다.(세금내는 걸 엄청 싫어해요. 어떤 면에선 희한하게 무정부주의자인 셈이죠)  하지만, 그는 자신이 자본주의자라고 분명히 말합니다. 자본주의와 생태주의의 기묘한 동거라고나 할까요. 자본주의의 본산인 미국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 겁니다. 그의 생활방식이 자급자족의 양상을 띄는 것은 아마 그의 농장운영 방식과 관련이 깊을 겁니다. 다품종소량재배를 하다보니 지역밀착형으로 판매를 할 수 밖에 없고 지역경제에 근거한 공동체를 추구하다보니 자연 생활방식도 그에 따라 가는 거겠죠.

 

그런데 자급자족이라는 단어가 유난히 눈에 밟히더군요. 왜냐하면 우리 나라에도 이 단어를 유난히 좋아하는 분이 계시거든요. 바로 "고맙다 잡초야"를 쓴 황대권 씨입니다. 이 분이 가끔 쓰는 칼럼을 보면 필자 소개에 <야생초 편지 저자>라고 나옵니다. 얼마나 좋은 책이길래 저자 소개를 이렇게 하나 생각했는데(전 아직 이 책을 읽지 못했습니다.) '고맙다 잡초야"는 이 책의 속편 쯤 됩니다. 환경과 문명에 대한 철학과 명상, 농촌 생활에서 생기는 이런저런 에피소드를 짧은 호흡으로 쓴 책입니다. 머리가 복잡하거나 심란 할 때 읽을 만 합니다. 저자가 차분하고 침착한 어조로 들려주는 농촌 에피소드가 마음을 가라앉히고 작은 활력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저자가 처음에 왜 귀농을 결심했는지가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아마 야생초 편지에 있을 것 같네요) 그 이유는 충분히 추측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처럼 인간은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인간이 지금껏 자연에 개입해서 잘 된 경우가 별로 없다는 군요. (하긴 자도 처음 외국여행에 가서 느낀 것은 "인간이 만든 것은 대부분 별볼일 없다"였습니다만) 저자는 현대의 인간들이 "사육당한다" 고 표현합니다. 비닐하우스 속 식물들처럼 편안하지만 제 본성을 잃어버리고 자신의 삶을 자본가에게 맡겨버린다고 말입니다.그리고 자본가들의 마음에 들기 위해 스펙경쟁에 몰입한다고 말합니다.  이 분은 조엘 샐러틴과는 달리 자본주의를 반대합니다. 자본가가 구축한 판매시스템을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니까요. 자급자족을 좋아하시는 것도 이런 맥락이겠죠.

그리고 자급자족을 위해선 여러가지를 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러고 보니 "빠빠라기"에서 무슨무슨 부족 추장이 현대의 직업이라는 개념을 비판한게 기억나는 군요. 대충 비판의 요지는 직업이 인간을 파편적으로 만들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집을 지을 줄도 알아야 하고 고기를 잡을 줄도 알아야 한다는 거죠. 우리는 정말 두 가지를 잘할 수 있을 까요? 슈마허식의 '적정기술"이나 "중간기술"이 등장하는 게 이런 맥락이겠죠. 지나친 전문화를 줄이고 대량생산을 피하는 것 . 이런 상황이라면 어찌 해 볼 수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대신 국영수는 사라지겠지만요)

 

근데 애덤 스미스가 바늘공장이야기를 하기 전에는 전부 이런 적정기술(?) 아니었을까요. 그게 싫으니까, 부적정(?)하니까 분업을 통한 생산량증가와 효울성 달성을 말한 것일텐데요.  그 때는 분업과 전문화가 진보와 혁명을 의미했을 텐데 지금은 다시 자급자족의 삶을 애기하고 있습니다.

 

바다를 한 번도 본적이 없는 사람은 바다가 좋은지도 모르고 바다없는 자신의 삶을 별 불만없이 받아들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마치 겔쓰리없이도 우리가 별 탈 없이 살았던 것 처럼요. 그런 때 황대권 아저씨 같은 분이 나타나서 바다가, 겔쓰리가 이렇게 좋은 거라고 알려주는 게 이런 분들의 사명이겠죠. (불경하게 말하면 이브의 뱀처럼?) 부디 아저씨가 자신의 이상을 이루었으면 좋겠네요. 그러면 아저씨는 이 때다 하고 다시 조근조근한 어조로 농촌에피소들 늘어놓을 겁니다. 그리고,그걸 읽은 누군가는 용기를 얻어 아저씨의 뒤를 따를 지도 모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