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그림자에게 말 걸기 - 융 심리학이 말하는 내 안의 또 다른 나와 만나는 시간 ㅣ 자기탐구 인문학 1
로버트 존슨.제리 룰 지음, 신선해 옮김 / 가나출판사 / 2020년 6월
평점 :
로버트 존슨 콘텐츠의 또 다른 변주다. 차이가 있다면 훈련 매뉴얼이 추가돼서 좀 더 자기계발서 같은 느낌이 들고 불교나 인도 신비주의 서적에서 볼 수 있는 표현들-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든지, 깨달은 자는 같은 일을 다른 의식으로 한다든지-이 추가돼서 좋게 보면 관점의 확장이지만 난삽하다는 느낌도 든다. 읽고 나면 왠지 마음이 안정되고 영혼이 풍성해진 느낌이 들지만 문장 하나하나를 정색하고 “그게 구체적으로 무슨 뜻인데?“ 하며 따져들면 막막해지는게 특징이다. 이 사람 콘텐츠 중 가장 래디컬한 주장이라면 ‘미덕의 상대성’일 것이다. 거의 ‘새로운 윤리’의 창조까지 가는 내용인데 모든 미덕은 반대쪽 그림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억압된 그림자는 반드시 돌아와서 자신의 지분을 주장한다. 해야 할 일은 기존의 미덕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미덕에 의해 억압된 그림자를 통합하는 것이다. 농담처럼 말하면, 윤석열탄핵찬반 집회를 하나로 통합해야 한다는 그런 느낌? 만약 미덕이 너무 강조돼서 신경증을 일으키는 사회라면 저자의 처방이 설득력이 있을 텐데 미덕을 지키지 않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미덕의 준수가 오히려 필요한 사회라면 저자의 주장은 초등학생에게 대학강의를 하는 셈일 것이다. 저자가 이런 대극을 통합하기 위해 내놓는 대안은 빅터 프랑클 식의 무조건적인 긍정이다. 저자들의 ‘그림자’론은 사실여부를 떠나서 논리적인 정합성이 있다. 모든 미덕은 상대적이다라는 주장은 니체까지 갈 것도 없이 여행 좀 많이 해보면 느낄 수 있다. (물론 상대성을 초월한 근본적인 미덕-예를 들어 생명은 소중하다- 은 동일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삶의 초반에는 그런 미덕을 추구하는 패턴이 도움을 주지만 해가 정오를 지난 중년에는 그런 미덕에 의해 억압된 것이 문제를 일으키는데 사람들은 기존 미덕의 패턴만 반복해서 문제를 키운다는 주장도 그럴 듯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저자가 삶의 대극을 끌어안은 대안으로 내세우는 ‘삶에 대한 무조건적인 긍정’이 삶의 이중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모호하다. 이런 태도는 선불교 일화부터 빅터 프랑클까지 이미 여러번 언급된 관점이고 이 대목에서 갑자기 왜 이런 관점이 나오는지 모르겠다. 저자는 '원래 그런 거'라는 식으로 넘어간다. 그 말 자체는 물론 듣기 좋은 말이지만 설득력이란 관점에서 볼 때 나쁘게 보면 이 책이 불교나 신비주의 전통 담론을 모아놓은 페스티쉬인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실용적으로 이 책을 본다면 중년의 위기를 기존 미덕을 반복적으로 추구하는 패턴(컴플렉스)에서 도래한 것으로 보고 그 해결책을 그림자를 통합한 완전성으로 극복하라는 도식인데 영성적 인간관을 배경으로 한다는 게 특징이다. 융심리학이 원래 영성적인건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 나오는 여러 상징기법들을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로버트 존슨의 <내면작업> 이 있다. 이 책은 로버트 존손의 기존의 여러 콘텐츠와 심층심리학을 요약 정리한 맛보기 인트로 느낌이다. 서문에 자신의 영혼의 상태를 감별할 수 있는 앙케이트 검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