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뷰티 - 장애, 모성, 아름다움에 관한 또 한 번의 전복
클로이 쿠퍼 존스 지음, 안진이 옮김 / 한겨레출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 정희진이 강의 중에 한 말 같은데 우리의 정체성은 여러가지라고 한다. 인종적 차원에서 차별받는 흑인정체성이 경제적 차원에서는 남을 부리는 CEO정체성일수도 있고, 젠더차원에서 억압받는 여성정체성이 인종적 차원에서는 흑인을 차별하는 백인정체성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가진 여러 정체성에서 모두 주류의 자리를 차지하기는 쉽지 않다고 한다. 저자의 이야기에는 장애라는 소수자가 겪게 되는 여러가지 경험들과 통찰들이 들어있다. 사랑과 연애라는 영역에서 컴플렉스가 하나도 없는 사람이 있을까? 아마 브루스 웨인이나 일론 머스크 정도 아닐까? 라디오헤드의 'creep'  가사처럼 '나는 이상한 놈이야, 이곳은 나를 위한 곳이 아니야' 라는 가사에 공감한 적이 있다면 저자의 경험을 어느정도 어림짐작할 수 있으리라. 선천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저자의 경험이 사랑과 연애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저자의 경험담을 읽다보면 비단 장애라는 상황을 떠나서라도 사람이 사람을 이해한다는게 정말 쉽지 않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철학교수답게 섬세하고 냉정하게 자신의 감정과 상황을 분석하고 묘사하는 게 이 책의 미덕인데, 동시에 단점이기도 한다. 저자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은 상태에서 저자의 내밀한 감정이나 이야기에 감정이입하여야 할 동기가 먼저 생기지는 않는 것이다. 물론 읽을 만하다. 하지만, 어떤 독자는 '내가 왜 시시콜콜한 당신 인생사까지 알아야 하는데? '라고 반문할 것이다. 아마 한국사람들끼리 (국적말고 인종. 허경 박사의 말로는 한국처럼 인종차별이 심한 국가가 없다고 한다.) 일상적으로 겪는 차별이라면 학력차별과 빈부차별,외모차별 정도가 아닐까 한다. 저자의 처방은 아래와 같다. 


"....사람들이 항상 나를 온전한 존재로 봐주지도 않았다. 그건 앞으로도 바뀌지 않을 것이다. 카일같은 사람들은 항상 있을 것이다. 무심한 남자들도 있을 것이고, 또 다른 골목길에 또 다른 낯선 사람들이 있을 것이고,콜린같은 사람들은 또 있을 것이다. 하지만 카일을 온전한 인격체로 바라보는 건 나의 선택이다. 그리고 그린 선택을 해서 내가 잃을 건 없다. 반대로 내가 사람들 앞에서 느끼곤 했던 그 모든 분노와 불안, 공포와 혐오는 나에게서 거의 모든 걸 앗아갔다. 카일이 나에게 던진 질문은 나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나는 그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고,그가 잘 되기를 빌어주고, 집으로 돌아왔다....나는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카일의 말들은 나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았다. 내가 카일을 무시해서가 아니라, 이제는 내가 나 자신을 무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


ps 저자가 비욘세콘서트에서 느낀 감정은 잘 이해되질 않는다. 아마 불교에서 말하는 '현전'하는 느낌 같은데 그게 어떻게 저자에게 영향을 미친걸까? 철학을 할 정도의 단단한 에고에 균열을 냈다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