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사람과 즐겁고 생산적인 대화를 나누는 법 - 의심을 생산하는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철학적 대화 실험
리 매킨타이어 지음, 노윤기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기넘치는 한국판 제목만큼 책이 재미있지는 않다. 내용이 늘어지고 신념, 믿음 같은 추상적인 단어들이 대량으로 출몰하는 탓이다. (원제는 "과학부정론자들과 대화하는 법"이다. ) 읽다보면, 비단 과학부정론자 뿐만 아니라 정치적 당파와 관련해서도 시사점이 있을 것 같다. (태극기 부대 vs 촛불집회? 같은 느낌이다. )   일단 플랫어스주의자들에게 과학적 증거가 부족한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과학적 증거가 아니라 그들의 믿음 내지 신념이 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저자는 정확한 사실이 중요한 게 아니라 그런 사실이 제시되는 사회적이고 감정적인 맥락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저자가 제시하는 방법은 끝까지 상대를 존중하고, 경청하면서 신뢰를 구축하고 참여하는 것이다. 


ps. 내용 중에 "황금쌀"을 언급하는 부분이 있다. 저자는 과학부정론의 하나로 GMO 반대론을 들고 있다.  GMO 로 탄생한 황금쌀은 -GMO가 위험ㅁ하다는 편견에 물든- 그린피스의 반대로 아프리카에서 도입이 중지되어 (저자의 주장대로라면) 많은 아사자를 만들어 냈다고 한다. 저자는 계속 "수십만명의 어린이가 굶어죽는 것을 보고만 있을 것인가?"라고 GMO반대론자를 압박한다. 나는 여기서 충돌을 느꼈다. 아프리카의 빈곤은 황금쌀부족이 아니라 남아도는 식량과 분배의 문제아니었던가?. 반다나 시바는 <누가 지구를 망치는가>(책과 함께) 황금쌀에 비판을 가한다. 이미 죽은 노벨상수상자의 서명을 도용해 과학적 증거를 위장하고, 빌게이츠가 이윤을 목적으로 산업농업을 인도에 퍼뜨리려 했다는 것이다. 저자는 과학적 태도를 가지고 미신과 싸워온 마이클 셔머같은 느낌의 사람인데 여기서 뜬금없이 많이 비약하자면 이데올로기로 부터 완벽히 자유로운 과학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혹시 "과학만능주의"라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어떤 맥락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