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월의식 2 - 코스믹 게임 초월의식 2
스타니슬라프 그로프 지음, 김우종 옮김 / 정신세계사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엔 그냥 재미로 읽다가 공정하지 않은 태도인것 같아 재독하였다. 저자는 체코 출신의 의학박사이다. 특징은  LSD를 통한 환각세션을 통해 새로운 우주관, 세계관을 발견해 낸 것이다. 저자는 '일체지향적의식상태'라고 이를정의하는데 마약중독상태와는 다른 이성적인 의식이 존재하는 상태라고 한다.(저자는 LSD 사용이 중지된 후 홀로트로픽요법이라는 호흡을 이용한 기법을 만들었다. 참고로 남방 명상법 중 과호흡을 사용하는 기법이 있다.) 본인이 4천회 이상 환각세션을 수행하고, 2천회이상 환각세션을 관찰해서 추려낸 세계관의 내용이 이 책의 골자다.  힌두세계관이 우주를 브라흐만신이 벌이는 유희라고 보는 것이라고 알고 있다. 저자의 결론은 환각세션의 결과가 힌두나 불교 등 다른 영적전통의 주장과 부합한다는 것이다. 실험자들은 세션 중 하나의 절대의식, 공같은 창조의 근원과 합일하는 경험을 하고, 한 단계 아래의 신, 원형적 존재들과 만나는 경험을 보고한다. 우주는 하나의 절대의식이 여러가지 동기로-권태, 자기표현, 창조욕구 등- 스스로를 분화하여 물질계를 창조했다는 것이다. 즉 우리는 자기자신이 신임을 알지 못하는, 절대의식이 만든 우주의 연극배우들이다. (저자는 영화와 티비의 비유를 자주 든다.)   그런 세계관 안 에서 세계의 악, 죽음, 성, 윤회, 카르마 같은 주제들은 어떻게 설명될 것인가?  <서프라이즈 TV> 같은 주제이긴한데 흥미롭고 간결하게 소개되어 있어 재밌게 읽을 수 있다. 저자가 또 제시하는 주제는 "주산기"라는 출생 때의 경험이다. 출생의 엄청난 폭력적인 경험이 무의식의 근원이고태아도 의식이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이게 무슨 헛소리냐 고 할 수도 있는데 책의 내용이 알팍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게, 저자가 제도권의 학자이기 때문이다. 조셉 켐벨이나 그레고리 베이트슨 등 인지도있는 학자도 등장하고, 그 허브는 "에셀렌 연구소"이다.  아마 저자는 자신이 만든 홀로트로픽 요법을 홍보하고 싶은 목적으로 이 책을 썼을 것이다. 피험자들은 신체적, 정신적 위기를 겪는 환자들이나 "통찰과 깨달음"을 얻고 싶어하는 일반인들이었다. 저자의 주장은 이런 체험들이 현재의 지구상의 폭력이나 위기상황-우리가 분리된 존재라는 인식에서 오는 여러가지 갈등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것까지 이어진다. 물론 여기에 마이크 셔머나 칼 세이건 같은 사람은 할 말이 많을 것이다. 마이클 셔머라면 "그건 환각"이고 단칼을 지었을 것이다.(<천국의 발명,아르테>)  어쩌면, 피암시성을 말할지도 모르겠다.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칼 세이건> )그런 실험 지원자라면 평소에도 영성쪽 이야기를 좋아할 가능성이 많지 않은가. 반면 저자는 "주관적 확실성과 현실성"을 이야기한다. (겪어보면 그게 진실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는 얘기다. 어째 불교의 열반체험같다). 비과학적이라는 공격에는 유물론 역시 형이상학적 가정에 근거하고 있으며 뉴턴식 기계론적 세계관으로 심리학적 관찰을 재단하는 것은 일종의 월권이라고 반박한다. 저자가 책에서 언급하는 "과학적임"은 실험가능성과 반복성 정도인데 이 부분을 깊게 들어가지는 않는다.  '인지편향'은 양쪽다 상대방에게 던지는 무기다. 한쪽은 '과학만능주의'로 다른 쪽은 '유사과학'으로 서로를 공격한다.  어쨌든 흥미로라도 재밌게 읽을 수 있다. 이런 소재를 영화시나리오 같은 창작에 사용할 수도 있지 않을까? 아바타같은 영화가 나올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