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들 - 온라인 ‘관종’은 어떻게 TV를 뒤흔들고 새로운 스타 계급이 되었나
크리스 스토클-워커 지음, 엄창호 옮김 / 미래의창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유튜브가 이렇게 거대한 공룡인 줄 몰랐다. 요새 오프라인에서 사이버렉카니 브이제이자살이니 해서 들춰봤더니 도시에 갓 올라온 시골사람이 된 기분이다. 책의 표현대로 10년 전에 태어났으면 저임금노동자를 전전했을 청년이 유투브 덕에 수백억대의 부자가 된다. 

  유튜브는 민주적인 미디어다. 이 대목에서 약간의 통쾌함이 느껴진다. 막강한 자금력과 기술 등으로 스크럼을 짜고 있는 방송 연예계에 머리를 조아릴 필요없이 내가 만든다는 식이니까.(어째 수십년전 본 코미디가 생각난다. 재미없는 방송에 부아가 치민 시민이 자체 방송을 제작한다는 에피소드다.) 하지만, 우리끼리 재밌게 놀자는 식으로 시작했던 유튜브는 거대한 산업이 되고 유튜버는  할리웃 스타들처럼 변한다. 관련해서 팝업스토어,굿즈 판매 등 부가 비즈니스 가 생기고 매니저, 변호사, 에이전시, 유튜버 학교가 등장한다. 책에서 설명하는 유튜버의 수입원은 크게 두가지인데 구글에서 받는 광고수입과 유튜버가 사업다각화를 시도해서 생기는 수입, 후원금 등이다. 이들 수입의 본질은 "인기"이다.  그런데 좀 짠한 것이 이들의 인기의 본질이 수려한 외모나 특기같은 것이 아니라 친밀함, "준사회적 관계"이다.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고 방송하는 유튜브는 개인적인 느낌을 주는 동시에 유튜버는 자신의 사생활을 공개하고 친밀함을 바탕으로 후원자들을 확보한다. 이들에게 친밀함과 진정성을 요구하는 사람들은 외로운 것 아닐까?(뭐 비하하려는 건 아니다.) 이들은 유튜버의 진정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정도로 프로고,  간접광고를 알아채지 못할 정도로 순진하다. 책에는 꼬마 팬들을 유튜브 행사장에 데려온 부모가 지루해 하는 모습이 묘사되곤 하는데 젊은 세대들은 더 이상 티비를 보지 않으며 본방사수도 안한다고 한다. 유튜브는 이미 티비, 영화와 힘을 겨루는 주류다. 19년도 출판된 책인데 지금 유튜브는, 소셜미디어는 또 어떻게 변했을까? 단점은 소개되는 유튜버들이 전부 외국사례라 느낌이 좀 잘 안온다는 것. 유튜브의 현황을 묘사한 책답게 읽기는 정말 편하다. 유튜브 보는 느낌이다.

 

ps. 근데 이렇게 수백억 버는 자기와 별다를바 없는 스타들을 보면 질투심은 안 생길까? 환경미화원이 방송에서 자신의 수입을 공개하자 시청자들이 항의 전화를 지자체에 했다고 한다. 그럴 정도의 패기라면 괜한 클릭질로 남 좋은 일은 안 시킬 것 같은데.. 당신의 무심한 클릭질이 상대방을 호의호식하게 만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