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쩌다 명왕성을 죽였나 - 명왕성 킬러 마이크 브라운의 태양계 초유의 행성 퇴출기
마이크 브라운 지음, 지웅배 옮김 / 롤러코스터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를 통해 얻은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다른 삶의 추체험이 아닐까 한다. 천문학자의 삶은 어떤 것일까? 명왕성이 태양계의 행성이든 아니든 적어도 나에게는 이야깃거리 정도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그럴 것일라고 나는 예상한다. 하지만, 세상에는 "먹고사니즘"을 벗어나 하늘에 매료되어 태양계의 기원을 연구하는 사람들도 아마 필요하겠지. 그리고, 리버풀 팬과 맨유팬이 진심으로 서로 싸우는 것처럼, 명왕성이 행성이냐 아니냐를 두고 진심으로 싸우는 사람들이 있다. 저자는 칼텍의 교수로써 자신이 명왕성 너머의 새로운 천체를 찾는 바람에  졸지에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축출되는 결과는 낳은 사람이다. 천문학자가 하는 일은 "먹고사니즘"과 떨어져 있지만 그들의 삶조차 그런 것은 아니다. 저자는 칼텍의 교수직 때문에 어쨌든 성과를 내야 했고(그 반대가 아니다) , 새로운 행성을 찾는데 전념한다. 그리고, "산타"의 발견을 두고 이제 과학의 문외한인 나에게도 어느정도 익숙한 "선점경쟁"을 벌여야 했다. 나에게는 누가 "산타"를 먼저 발견했는지는 역시 이야깃거리지만 과학자들에게는 테슬라와 에디슨이 그랬던 것처럼 인생을 건 싸움인 것이다. 노가다로 천체 사진을 찍는 과정부터 컴퓨터 붙박이로 사진을 분석하는 과정까지 천문학 연구과정을 엿볼 수 있다. (실제 연구는 천문학의 낭만적 이미지하고는 땅끝까지의 거리가 있다.) 저자는 자신이 발견한 "산타"가 10번째 행성이 되기보다 발견된 과학적 사실에 기초해 명왕성을 행성에서 탈락시키는 쪽을 택한다. 행성을 발견한 사람이 되기보다( 과학자로서의 명예) 보다 행성을 죽인 쪽(비난과 논란의 중심)을 택한 것이다. 음 과학자가 아닌 나로서는 가늠하기 어렵지만 본인으로서는 학자적 양심을 택한 것이리라. 책이 먹기 좋은 밥상처럼 매끄럽게 흘러간다. 요새는 교양,재미, 가독성을 겸비한 책들이 너무 많이 쏟아져 나와서 소외감(?)이 느껴질 정도다.두께는 약간 있지만 유튜브 다큐 보는 것처럼 편하게 읽을 수 있다. 이제 별을 보는 사람은 많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 아마도 직업적으로 별을 보는 사람의 인생이야기는 분명 흥미로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