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약간 덜하지만 한 때 다치바나 다카시가 결코 비판할 수 없는 지와 교양의 아이콘처럼 느껴지던 때가 있었다. 고양이 빌딩은 모든 책광들의 로망 아니던가. 더불어 그렇게 많은 책을 읽을 수 있는 이유가 그만의 “기적의 속독법”때문이라는 것이 알려지면서 독서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압박했던 것 같다. 독서에서 좌우파를 나눈다면 속독파를 좌파로 지독파를 우파로 나눌 수 있을 텐데, (느림이 안티테제가 된 요즘은 반대일지도 모르겠다.) 아마 속독파의 대표주자로 다치바나 다카시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당시 대세였던 다치바나 다카시를 실명비판해서 꽤 신선하게 느껴졌던게 바로 이 책이다.

    

내가 알기론 야마무라 오사무는 대학교 교직원이고 얼마전에 타계했다. 책에 실린 6편의 에세이를 통해 쉬운 문장에 스기우라 민페이, 발터 벤야민 등 자신의 교양에서 뽑아낸 여러 가지 예화를 통해 지독의 우수성을 강조해 설득력이 있다. 아마도 그는 다치바나 다카시 류의 책읽기 권수 경쟁이 독자들을 현혹시킬까 이 책을 쓴 것 같다.그가 보기에 속독할 수 있는 책은 아예 읽을 필요가 없는 책이며, 일주일에 몇 권 이상 이라는 식의 권수 경쟁도 유치한 짓이다. 다치바나 다카시가 하는 발췌독은 야마무라 오사무에게는 아예 독서의 범주에도 들어가지 않는다.(그건 독서가 아니라 참조다.) 다치바나 다카시의 독서법은 책읽기를 업으로 하는 평론가나 저술가에나 필요한 독서법이라는 것이다. 자신처럼 생업이 따로 있는 생활인에게는 독서가 삶의 최우선 순위도 아니고 하루종일 책만 붙들고 있는 삶은 오히려 건강하지 못한 삶이다. 그에게 독서란 “책과 심신의 조화”이며 읽는 방법에 따라 책 자체가 바뀐다. 지독에서 느낀 자신의 즐거움을 경험담과 함께 소개하면서 진정한 독서의 즐거움은 지독에서 나옴을 강조한다. 표주박의 이미지를 예를 들며 자신의 호흡을 가다듬는 테크닉을 소개하는데 실전사용 가능한 팁이다. 그 외의 지독의 방법론까지 이야기가 전개되지는 않는다. 책을 읽는다는 것, 독서의 즐거움에 대한 저자의 관점이 속독법을 비판하며 대비되는 것이 주내용이다. 다치바나 다카시를 직접 비판한 부분은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의 문장을 인용하며 시작되는데 사실 읽다보면 다치바나 다카시가 좀 억울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야마무라 오사무가 인용한 다치바나 다카시의 속독법은 다치바나가 서점에서 책을 사기전에 사용한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즉 책을 솎아내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내가 아는 책읽기의 달인들은 전부 다치바나처럼 속독으로 책을 먼저 솎아낸다.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주인 윤성근도 <나는 이렇게 읽습니다>에서 책을 솎아내는 기술로 자신의 속독법을 노하우로 소개한다. 고미숙씨 같은 경우에는 결론부분만 발췌독을 먼저하고, 관심이 생기면 정독을 한다고 한다. 발췌독은 독서가 아니라 참조라고 저자는 분노하지만, 로자 이현우는 “책을 만져보는 것”도 하나의 경험으로 인정한다. 독서의 달인들이 이렇게 독서의 범위를 넓히는 이유는 간단하다. 책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다치바나는 모든 사람들에게 속독을 권유한 것도 아니고, 본문에서도 자신의 속독법은 속독이 필요한 사람들이 참고정도로 하라는 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 역시 책의 종류에 따라 정독, 통독, 속독을 적절히 사용한다고 밝히고 있다. <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는 다치바나 다카시의 속독법이라든지, 다치바나 다카시의 독서와 지식, 교양에 대한 관점, 독학의 방법 등 책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묶고 있는데, 독서에 입덕을 권유할 때 곧잘 언급되는 책이다.

 

만약 야마무라 오사무가 다치바나 다카시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느낀다면 그 이유는 독서, 책, 지식, 교양 등에 대한 서로의 관점이 근본부터 틀리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야마무라 오사무가 다치바나 다카시에게 하는 비판은 배구선수가 농구선수의 플레이를 탓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야마무라 오사무에게 독서는 보물이 숨겨진 바다에 그물을 던지는 것이다. 그물을 올릴 때 마다 뭐가 걸려오는지 기대감을 가질 수도 있고. 세심히 살피는 지혜도 필요하다. 어쩌다 귀한 보물이 걸려나오면 탄성을 지를 수도 있다. 하지만, 다치바나 다카시에게 책은 원재료이고 그냥 매체의 하나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책 자체가 아니라, 책이라는 원재료로 돌아가는 자기 머릿속의 정보생산 프로세스인 것이다. 중요한 정보를 준다면 책이 아니라 영상이라도 상관없다. 실제로 문학작품류보다 디비디같은 영상매체를 더 많이 소장하고 있다고 애기하는데 활자가 영상보다 상상력을 키워준다는 상투적인 말조차 하지 않는다. 그에게 독서는 보물이 가득한 바다에 분명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작살을 던지는 것이다. 상어를 잡으려고 작살을 던졌는데 고래가 잡혀봤자 그에게는 실패인 것이다. 교양에 대한 관점도 독특한데 그에게 19세기 문학이나 사변철학 등은 이미 죽은 지식이고, 진화의 계통수가 끝난 공룡같은 것이다. 이유는 더 재미있다. 더 이상 사람들이 그런 것을 읽지도 공부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즉 정보의 신진대사가 없다) “고전이란 원래 가치있는 것”이라는 전제가 아예 없다. 그에게 진정한 지식과 교양이란 지금도 활발히 정보의 대사가 이루어지는 첨단과학이다. 다치바나 역시 인간존재의 의미라든지, 시간이라든지 공간이라든지 하는 존재론적 물음을 던진다. 하지만, 여기에 대한 답변 역시 19세기의 사변철학에서가 아니라 현대의 첨단 뇌과학에서 찾는 것 같다. 현대의 첨단과학을 진정한 지식으로 설정하니 당연히 쏟아지는 지금 여기의 출판물과 정보를 전부 스캔해야 하고, 속독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는 미래의 인간이란 정보의 대사로 움직이는 인간이 될 것이라고 하는데 마치 오시이 마모루의 <공각기동대>의 엔딩같은 느낌까지 든다. 한 쪽에서는 이런 다치바나 스타일이 깊이가 없고 “인격적 성숙”이 없다고 비판을 한다.(예를 들면 <서평쓰는 법>의 이원석) 하지만, 이런 비판도 이미 다치바나와는 출발점이 다른 비판이 되는셈이다.

 

독서계의 우파가 될까? 좌파가 될까? 이제 사람들이 책을 너무 읽지 않으니 이런 질문은 아예 하지 않을까? 책을 읽는 목적은 전부 틀리고 인생관도 전부 틀리다. 정말 부러운 사람은 자동차의 기어를 바꾸듯 속독과 지독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인 것 같다. 만약 자신의 인생의 골수가 무엇인지 이미 아는 사람은 그 골수를 깊이 빨아먹을 수 있는 지독을 하면 될 것이다. 하지만, 아직 그런 인생의 골수를 찾지 못했거나 그런 건 없다고 믿는 사람은 다치바나식의 속독술이 유효하지 않을까. 다치바나처럼 정보를 축적하고 새로운 지식을 메이킹하는 과정에서 쾌감을 느끼는 사람은 마치 세계일주하듯 이런 저런 책을 “만져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근데 요즘 사람들도 다치바나 다카시나 야마무라 오사무를 알까?

 

ps 다치바다 다카시의 일본내 연혁(?)이나 평가 등이 궁금하다면 사이토 미나코의 <문단아이돌론>이 있다. 여기서 저자는 -대놓고 말하지는 않지만- “지의 거인” 다치바나 다카시가 축조한 지식이 실은 전공자가 보기에는 페이크일 수도 있다는 암시를 한다. 그 외 하루키나 요시모토 바나나에 대한 미묘하게 깐죽대는(?) 비평이 재미있게 펼쳐지고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은 한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