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버지니아 울프 전집 3
버지니아 울프 지음, 오진숙 옮김 / 솔출판사 / 200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여자가 하나의 인격적 존재로서 존재하려면 먹고 살아갈 경제력과 자기만의 방이 있으면 된다는 게 이 책의 요점이다. 그러면서 슬슬 남자들의 가부장적 세계관을 공격한다. 알파벳 "I"로 대변되는 남자들의 세계. 소설 속에서 늘 등장하는 "나". "I" 자 밑에 드리워진 그늘 속에 여자들이 살고 있다는 게 버지니아 울프의 생각이다. 또 하나 끝부분에 등장하는 공처럼 생긴 인간. 플라톤의 말이지만. 떨어진 반쪽이 다 합쳐진, 남녀가 하나 되어 있는 자웅동체의 인간에 대한 그리움이 울프가 생각하는 인간평등의 해답이다. 현실에서 이상으로. 꿈일까, 현실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울과 몽상 - 에드거 앨런 포 소설 전집
에드거 앨런 포 지음, 홍성영 옮김 / 하늘연못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진정한 공포가 무엇인지 알고자 한다면, 이 소설을 읽으라. 중학교 때 겨울 밤, 캄캄한 어둠 속 이불을 뒤집어 쓰고 읽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인간이 갖고 있는 성정의 한 전형을 발견하고 싶다면 이 책이 답을 줄 것이다. 책을 읽는 이유는 자신의 마음속 내면의 공간을 넓히기 위함이다. 지금, 여기에 지극히 만족한다면 읽지 않아도 좋다. 어둠의 세계 속으로 갔다 나온 뒤의 자신의 얼굴을 거울에 한번 비추어 보면 알리라. 부활한 예수의 얼굴에서 비치던 광채라고 하면 과장일까. 아무튼 그런 무언가를 느끼지 않을까?

나는 포우에게서 진짜 미국문학이 무엇인가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인 에어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9
샬럿 브론테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보다 보면 옛날 고속버스터미널 가판대에서 팔던 선데이 서울이라는 주간지가 생각난다. 실화소설. 나는 고발한다. 내가 겪은 사랑 이야기. 동생 에밀리보다 생전에 인기를 누렸던 샬롯 브론테. 이 책을 보며 문학의 작품성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된다. 그래, 절망의 짜장면 같은 것을 우리는 원한다. 그 내면의 고뇌에서 길어올린 그 진득한 무엇. 그것을 되씹으며 우리는 사랑을 생각하고 미움을 생각하고 또 죽음을 생각한다. 맑은 날 천둥치는 하늘, 그 가운데 떨어지는 비, 그 빗소리를 생각하듯. 이곳의 삶은 유토피아가 아니다. 유토피아의 정반대의 구역. 선데이 서울이 그립다면 한번 읽어볼 만도 하다. 왜 이 소설이 당시에 인기가 있었는지, 알고자 한다면 문학사회학적 접근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폭풍의 언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사랑과 증오. 그 미어질 듯한 애증. 숙변이다. 해결되지 않는 그 미제의 문제. 책을 읽는 내내 우리를 괴롭히는 저 배설되지 않는 그 무엇. 그러다 마침내 K.O. 펀치가 터지고 나는 책을 놓는다. 던진다. 이것이 고전이 갖는 하나의 터닝포인트인가? 우리 생에 있지만 누구도 그리지 못했던 것을 그려놓는 것. 그리하여 하나의 성격적 모범으로 자리하는 것. 옛날의 권투를 원한다면 이 책을 보라. 던지는 펀치를 교묘하게 피해가는 상대방의 몸놀림. 마침내 한 방 맞혀 캔버스에 누였을 때의 쾌감. 숙변의 배설. 카타르시스. 바로 그것이다. 언니보다 낫다. 동생 에밀리 브론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개츠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5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줄곧 괴테를 생각했다. 그의 젊은 시절 폭풍과 노도처럼 살던 시절. 그 흔적.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사랑과 사회적 제약 사이에서 고뇌하는 피곤한 젊은이. 할 수 있는 것이 사랑뿐이던가? 그래서 늘 뒤로 돌아서던 청년의 슬픈 그림자, 그것을 나는 이 책에서도 보았다. 사랑이 얼마나 인생을 뒤흔들어놓는지, 그 폭풍같은 위력을 여기서도 확인하고 저기서도 확인한다. 사랑과 죽음. 그 영원한 문학적 테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