돔의 건설 기간동안 브루넬레스키는 ‘선원근법‘의 원리를 발견했고, 그의 친구인 마사초는 이 원리를 이용해서 최초로 원근법을 적용한 그림인 <신성한 삼위일체>를 완성했다. 일점 소실점을 기준으로 모든 사물이 수학적 비례에 맞게 축소되는 원근법은 르네상스 이후 500여 년간 서양 회화를 절대적으로 지배하는 시각적·철학적 원리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 판에이크가 1434년에 그린 <아르놀피니의 결혼>은 최초의 시민 초상화로 알려져 있다. 중세 시대 그림의 주인공은 당연히 기독교 성인이나 귀족이었다. 그러나 아르놀피니의 결혼식을 다룬 그림과 조반니 아르놀피니의 다른 초상화가 더 있다는 것은 그만큼 상인 계층이 성장했다는 의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해된 사람들은 모두 토지 소유자이며, 그중에는 소를 가진 사람도 있었다. 누군가 이 토지와 소를 가져야 했기에 그 임자를 죽인 것이다. 빈곤과 인구 과잉에 시달리는 나라에서 이것은 무시할 수 없는 동기를 제공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농경에 적합한 토양, 목축을 하기에 좋은 초목, 풍부한 수자원, 넉넉한 사냥감 등 한 사회의 경제가 의존하는 자원이 무엇이냐에 상관없이, 어떤 사회는 남용을 절제하는 방식을 꾸준히 발전시킨 반면에 어떤 사회는 그렇게 하지 못하고 붕괴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르웨이 사람들은 그린란드에서 유럽식의 획일적 사회를 건설해낸 까닭에, 유럽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450년을 꿋꿋하게 생존했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의 사회를 성급하게 실패한 사회라고 단정 지어서는 안 된다. 미국이 북아메리카에서 살아온 시간에 비하면, 그들이 그린란드에서 살아간 시간이 훨씬 길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국 족장들은 모든 추종자를 잃고 말았다. 그들에게 허락된 마지막 권리는 최후에 굶어죽는 특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