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택 유전자 2 - 아파트는 어떻게 절대 우세종이 되었을까? 한국주택 유전자 2
박철수 지음 / 마티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주택의 근대사. 특히 오늘날의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등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배경을 알 수 있어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78년 11월 완전 준공한 잠실주공아파트단지는 마포아파트에서 비롯된 단지형 아파트가 한강맨션아파트와 여의도시범아파트 그리고반포주공아파트를 거치는 과정에서 중산층아파트라는 의미의 맨션아파트와 결합한 뒤 대단위 아파트단지로서 자리매김한 최초의 사례이자 전범이다. 또 1980년대 이후에는 아파트 일반화 과정에 결정적역할을 했다. 여기에 상가주택과 상가아파트를 거치며 상업지역을 대상으로 공급한 주상복합아파트의 초고층화와 수도권 5개 신도시 건설 과정에서 만들어진 브랜드 주택이라는 시장 속성이 더해진 것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아파트다. - P6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군사정변 직후 대한주택공사 설립과 동시에 최대 역점사업으로 추진된, 마포아파트는 단독주택에서 아파트단지로의 이행기에 기폭제가 된 사례인 동시에 평면 구성이나 단지개발 방식, 더 나아가 주거동의 표준화 등에 있어 가장 강력한 선례로 작동했다. 특히, 우리나라 주거단지에서 같은 형식과 모양의 주거동을 반복적으로 배치하는 관행의 중요한 시작점이었다. - P1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주택 유전자 1 - 20세기 한국인은 어떤 집을 짓고 살았을까? 한국주택 유전자 1
박철수 지음 / 마티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 한국 주택의 역사를 말하다. 주택 내부 사진이 거의 없는 것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건주택, 희망주택, 부흥주택이라는 명칭엔 당시의 사회상과 기대가 덧씌워져 있다. 한국전쟁의 참화를 딛고 산업과 나라를 ‘재건‘하고, 이를 바탕으로 ‘희망‘을 싹틔워 ‘부흥‘의 기치를 드높이자는 뜻이담겨 있던 셈이다. 각 이름의 가치가 무엇보다 우선되던 때, 그러니까 재건주택은 1945년에, 희망주택은 1955년에, 부흥주택은 1957년에 공급되었다." - P5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