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정변 직후 대한주택공사 설립과 동시에 최대 역점사업으로 추진된, 마포아파트는 단독주택에서 아파트단지로의 이행기에 기폭제가 된 사례인 동시에 평면 구성이나 단지개발 방식, 더 나아가 주거동의 표준화 등에 있어 가장 강력한 선례로 작동했다. 특히, 우리나라 주거단지에서 같은 형식과 모양의 주거동을 반복적으로 배치하는 관행의 중요한 시작점이었다. - P1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주택 유전자 1 - 20세기 한국인은 어떤 집을 짓고 살았을까? 한국주택 유전자 1
박철수 지음 / 마티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 한국 주택의 역사를 말하다. 주택 내부 사진이 거의 없는 것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건주택, 희망주택, 부흥주택이라는 명칭엔 당시의 사회상과 기대가 덧씌워져 있다. 한국전쟁의 참화를 딛고 산업과 나라를 ‘재건‘하고, 이를 바탕으로 ‘희망‘을 싹틔워 ‘부흥‘의 기치를 드높이자는 뜻이담겨 있던 셈이다. 각 이름의 가치가 무엇보다 우선되던 때, 그러니까 재건주택은 1945년에, 희망주택은 1955년에, 부흥주택은 1957년에 공급되었다." - P5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는 기억의 저편으로 사라졌지만, UNKRA주택, ICA주택, AID주택 등 영문 약자가 붙은 주택들은 전쟁의 참화로 망가진 작은 나라에 대한 구호의 손길로 지어진 최소한의 울타리였고, 집 걱정에 시름했던 당시 서민들에겐 꿈의 궁전이었다. 하지만 정작 이들 주택을 차지한 건 중산층이었고, 향후 중산층 주택의 원전에 가까운 자리에 오르게 된다. - P4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앙행정처가 서울에 350동의 주택을 2가지 평면 유형으로 건설한 사례가 있지만, 이 시기에 한국 근대주택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진 주택은 미군주택(Dependents Housing)이다. DH주택은, 19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지어졌으며 소위 "양옥"이라 널리 알려진 주택 유형의 근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3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