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국외 문학은 이야기를 통해 새로운 문화들을 접할수 있어 신선한 매력이 있는 반면, 국내 문학은 번역이라는 중간단계를 건널 필요가 없이 오롯이 작가가 쓴 글을 그대로 보고 느끼고 공감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는 것 같다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의 누이로 이름이 낯익은 허난설헌.
물론 픽션이 많이 가미되었겠지만 이 여인은 과연 어떤 삶을 살았었을까 궁금해졌다
표지 여인의 모습이 참 단아하고 현숙해보인다
책을 다 읽고보니 그림 이미지가 주인공과 참 잘 맞는다는 생각이 든다
이야기의 처음은 난설헌의 혼사부터다
열다섯살 어린 나이에 첫사랑의 설렘이 이제 막 피어오르려 할무렵, 난설헌은 시집을 가게 된 것이다
어릴적부터 신동으로 소문이 자자하던 양가집 규수를 며느리와 아내로 맞게된 시어머니와 남편의 냉정한 박대와 무관심 속에서, 마치 차디찬 눈속에 홀로 피어 떠는 가련한 꽃처럼 살다간 그미의 삶이 참 슬프기 그지없다
국내판 '여자의 일생'이랄까..
조선시대에 여자로서 살아간다는 것은.. 아무리 번듯한 양가집 규수일지라도 참.. 모질고 고단한 것이었겠구나 싶다
그리 재주도 뛰어나고 속도 깊은 훌륭한 여성이 시대를 잘 못 만나, 지아비를 잘 못 만나 행복한 꿈을 한 번 펼쳐보지도 못하고....
매정한 시어머니와 현명하지 못한 지아비로 인해 사랑하는 두 아이와 멀어지고 결국엔 영영 잃어버리게 되버리는,, 20대 중반, 아직 어린 어미의 심정이 어떠했을지..
아이를 낳아 길러본 엄마라면 정말 눈물없이는 볼 수 없는 가슴아픈 장면,장면들...
천재 여류문인의 뭔가 특별한 삶을 볼 수 있으리라 기대했었는데, 단지 고달픈 조선 아녀자의 삶을 본 뿐인 것 같아 좀 아쉬웠지만 그래도 나름 괜챦게 읽히는 책이다
허난설헌의 시도 같이 접할 수 있고.
"제각각의 팔자대로 사는 게야. 집착을 버리면 세상이 밝아지고 근심 걱정이 덜어질 게야"
-p247
외할머니가 난설헌에게 하는 말.
얼마나 많은 여성들이 이렇게 애써 마음을 다스려가며 많은 것을 체념하고 살았을까 싶어 참.. 마음이 애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