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으로 드나드는 남자
마르셀 에메 지음, 이세욱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이야기는 어린아이를 위해 씁니다. 그리고 어린아이만 읽습니다.

어떤 이야기는 어른을 위해 씁니다. 그런데 어린아이도 읽습니다.

어떤 이야기는 어린아이를 위해 씁니다. 하지만 어른들이 더 많이 읽습니다.

어떤 이야기는 어른을 위해 씁니다. 그리고 어른들만 읽습니다.

 

 세상의 이야기들을 이런 식으로 나눠보면 그 종류는 열 가지도 넘을 겁니다. 그러다가 이런 결론에 닿게 되겠죠.

 "어른만을 위한 이야기나 아이들만을 위한 이야기는 '그다지 많지 않다'."

네, 일단은 신중을 기하기 위해 '아마도'라는 말을 적을 셈이지만, 거의 확실히 그럴 겁니다. 

세상에 나와 있는 이야기들은 결국 '우리', '사람들'과 전혀 무관할 수 없을 테고, 사람이라면 누구나 저마다의 '이야기'를 이야기 속에서 발견하게 될 테니까요. 

 자기의 경험과 사고의 범위 안에서 전혀 다르게 이야기를 받아들이게 될 거라는 이야기입니다.


마르셀 에메의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는 다섯 편의 단편을 묶은 단편집입니다. 기묘하고 환상적인 이야기가 있는가 하면, 아주 보통의, 평범한 이야기도 담겨있어서 '이 책은 이런 책입니다'하고 똑 부러지게 말하기 어려운 책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 가지만은 말할 수 있습니다.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로 묶인 다섯 편의 공통점 말입니다.


 다섯 편의 이야기는 모두 '마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 마음이 사랑하는 이성을 향한 것이든, 아버지를 향한 것이든, 어머니를 향한 것이든, 불특정의 누군가를 향한 것이든 그 마음은 고귀하고 아름답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마음'에 대한 것을 좀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는 표제작이자 첫 번째로 실린 작품입니다. 어느 날 자신이 벽을 통과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는 한 남자의 이야기인데, '벽을 뚫는 남자'라는 뮤지컬의 원작이기도 합니다. 

 줄거리는 평범한 공무원인 뒤티유욀이라는 남자가 자신의 능력을 알게 된 후, 능력을 시험하고자 범죄를 저지르기를 거듭하던 중에 진정한 사랑에 빠진다는 식입니다. 

 벽으로 드나들 수 있는 뒤티유욀의 능력은 그를 유명하게 하고, 진정한 사랑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지만 그 결말이 어떨지는 끝까지 읽어보지 않으면 알 수 없겠죠.


 뒤티유욀의 벽으로 드나들 수 있는 능력을 보면서 사실 제법 부러움을 느꼈습니다. 정말 그처럼 가로막는 무엇이든 통과할 수 있다면 세상의 아주 많은 제한에서 자유로울 테니까요. 하지만 벽으로 드나드는 뒤티유욀의 능력을 보며 정말 바라게 된 건 벽 너머로 들어갈 수 있었으면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 안으로 들어갈 수 있었으면 하는 것이었습니다. 사람의 마음이란 벽이나 강처럼 물리적으로 뚫거나 건너는 게 불가능하기에 상대방이 허락하지 않는 한 영원히 닿을 수 없으니까요. 


 벽으로 드나들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남자 이야기를 읽으며 마음에 대한 생각이나 하고 있어서야 모처럼 벽으로 드나들 수 있게 된다고 해도 별 의미는 없을 겁니다. 그깟 콘크리트 벽쯤 통과할 수 있는 능력으로는 사람들을 놀라게 할 수 있을 뿐일 테니 말입니다.

 

 <생존 시간 카드>는 생산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류된 사람들의 생존을 제한하는 정책이 시행되면서 생기는 에피소드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잉여인간'에게는 생존을 허락하지 않겠다."는 정부의 정책이 그 시작인데, 그 실행과 과정을 따라가며 상상해보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그리고 결말, 이건 또 아주 인간적이죠.


 <속담>은 전제적인 가장인 자코탱 씨와 아들 뤼시앵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인데, 제목이 <속담>인 이유는 뤼시앵의 국어 숙제가 '잰 놈 뜬 놈만 못하다'는 속담을 주제로 한 작문이기 때문입니다. 결말이 훈훈하기는 한데 정말 이렇게 끝난 게 최선일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하더군요.


<칠십 리 장화>는 이 책에서 제일 감동적으로 읽은 이야기입니다. 미혼모인 엄마와 함께 살고 있는 아들의 이야기로, '칠십 리 장화'는 한 걸음에 칠십 리를 이동할 수 있는 마법의 장화입니다. 이런 마법의 장화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 겨울에는 한 번 발명해도 좋겠더군요. 따뜻한 이야기입니다.


마지막으로 실린 이야기는 <천국에 간 집달리>인데, '집달리'는 주인을 대신해 집세를 받아내거나 하는 부동산 관리인을 칭하는 말인 듯하더군요. 직업이 집달리다 보니 매정한 일도 많이 저질렀던 말리코른은 모든 사람이 그런 것처럼 어느 날 죽습니다. 그런데 죽는 것으로 끝난 게 아니라 하늘에서 천국과 지옥의 심판을 받는 과정에서 판사의 실수 덕분에 지옥행을 면하고 한 번 더 기회를 얻어 지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야말로 '여분의 삶'을 부여받은 거죠. 말리코른은 지금까지의 태도를 바꿔 선행과 자선을 베풀고 다니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그 선행과 자선은 모두 자발적이지도 마음에서 우러난 것도 아니었습니다. 천국에 가기 위한 선행 쌓기의 방편이었던 거죠. 과연 말리코른은 천국에 가게 될까요? 

 길지 않은 이야기들이니 다음 이야기는 직접 읽어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여러 이야기를 간추려 적다 보니 괜스레 긴 이야기가 되어버렸네요. 조금은 억지스럽지만 이야기를 다시 '마음'으로 돌려보겠습니다. 

 물리적인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들, 벽을 뚫는다거나, 한 걸음에 칠십 리를 달린다거나 하는 건 분명 편리할 수 있습니다. 비생산적인 존재들의 생존을 제한하거나, 억지스럽기는 해도 표면적인 선행을 하는 것에도 의미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가족과 자식들 앞에서 언제나 권위와 위엄을 잃지 않는 뛰어난 가장이 되는 게 중요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건 언제나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저는 눈에 보이는 것들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어쩔 수 없는 '속물적인 인간' 중 한 명입니다. 하지만 더 많은 순간에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고 믿으려 애쓰는 인간이기도 합니다. 

 내가 정말 넘어서고 싶은 건 가로막힌 당신의 마음이며,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열리기를 기다릴 수 있다고 말할 셈이기도 합니다. 


 이 책의 저자인 마르셀 에메가 꿈꾸었을 세상 역시 '사람의 마음' 그 따뜻한 온기가 살아있는 세상이었을 거라고 믿습니다. 

 외롭고 쓸쓸한 사람들, 소외되고 핍박받는 영혼들, 비참하고 비통한 처지의 이웃들을 찾아가는 기적. 

마음과 마음이 이어지며 퍼져가는 온기가, 깊어가는 겨울의 한기를 조금이나마 누그러뜨릴 수 있기를, 이 밤 기도합니다.


 넘어서고 싶은 게 있나요? 

꼭 그곳에 닿으시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