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인의 반란자들 -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
사비 아옌 지음, 정창 옮김, 킴 만레사 사진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읽고 싶은 마음에 샀지만, 알고 싶진 않았던 그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책이다.

작가와 독자간의 거리. 사실 쓸데 없는 고민거리다. 전혀.

그럼에도 독자는 무엇으로 작가를 이해하고 알아가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의외로 자주 불거진다.

정말은. 이야기에 대한 어떤 인상도 새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읽어나가고 싶다.

아무도 밟지 않은 이른 새벽의 눈길을 걷고 싶은 마음처럼.

읽고나면 어리둥절하고 어안이 벙벙해서 이게 무슨 소리일까? 도대체 알 수 없어 고민하게 되는 일들도 사실은 마주하고나면 반가운 감회가 된다.

그런 까닭에 난 작가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들이 어떤 배경에서, 무슨 상황을, 누구의 이야기를, 어떻게 담아내려 했는가? 그것은 온전히 이야기 속에서 발견해내야 할 것 들이다.

늘 새롭게 읽고 싶고, 신비와 베일에 싸여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랄까?

이런 이유에서 이 책은 구성에서부터 내 바람과는 많이 어긋나고 있다.

그럼에도 읽고 싶은 마음이 들었던 것은 어떤 이들이 무슨 생각을 하며 살고 글을 써냈기에 노벨문학상을 받을 수 있었나가 궁금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작가가 쓴 이야기에 대해서는 알고 싶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은 역시 모순되는 것일까?

노벨문학상이 수상자를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일지 조금 알 수 있게 된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유쾌하게 다가오는 상큼한 기분이 아닌 눅눅하고 씁쓸한 기분이란 것이 아쉽지만.

'반란자들'이라고 명명된 16인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들이 마치 심사위원(그들)이 선택하고 허용한 '반란자'의 이미지에 갇혀버린 것 같아 그들이 지녔을 순수함이 훼손된 것이 아닐까하는 느낌이 들었다고하면 역시 성급하고 가벼우며 다분히 오해하고 있는 판단이 될까?

그렇다해도 내겐 그런 느낌으로 다가온 것을 어쩔 수 없다.

하지만 그런 느낌과는 별개로 수상자들 개개인과 글을 쓰는 일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존재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만은 확실히 알 수 있었다.

평범한 작가와 달리 그들의 활동엔 제한 된 영역이 없었다.

그들은 글을 쓰는 일을 하는 작가지만 글만 쓰는 작가는 아니었다.

문학상을 수상한 사람들이 글만 쓰는 사람들이 아니었음은 어딘가 낯설다.

책 속에서 몇 몇의 수상자들은 '이데아'를 이야기하고 있다.

내가 알고 있는 이상적인 모습을 의미하는 '이데아'와는 조금 다른 것 같은 인상의 그들의 '이데아'.

편집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집어 넣었는지 작가들 스스로 그렇게 말을 한 것인지 짜 맞춘듯 여러 사람의 이야기에 등장하니 '조작'이 아닐까하는 불순한 마음, '의심'이 싹텄다.

그들의 말은 힘이 있다.

그들이 경계하고 있다고 이야기하는 부정적 '이데아'.

그 부정적 현상이 만연해 있는 사회에 대한 경고, 혹은 각성의 촉구를 위한 의도는 아니었을까?

인종청소나 홀로코스트, 천안문 사태가 다시 등장한다.

작가들의 이야기다.

최근들어 발간되는 신간에 왠지 자주 보이는 주제어들이 이곳에서까지 눈에 띄니 요즘 세상의 어느 한 구석에 경계해야 할 일들이 서서히 저변을 넓혀가고 있어서 그것에 대한 경고는 아닌가하는 뭔가 허황되게까지 느껴지는 생각도 해본다.

그들의 실상은 어쩌면 비참하게도 다가왔다.

강력한 힘을 지닌 상을 수상함으로써 경계의 대상이 되고 그 이유로 배척되거나, 이용당하기도 하는 일.

스스로 바라는 바였던 사람도 있지만 전혀 원치 않던 결과로 괴로워해야 했던 사람도 있었음을 알게 된 것 또한 서글펐다.

그들은 신처럼, 하늘의 별처럼, 바다의 고래처럼 크고 위대하며 신비롭길 바라는 마음이 있었던 모양이다.

이런 저런 감상을 전부 뒤로하고서 이야기하자면 역시 난 알고 읽기보다는 모르고 읽기가 좋다.

앞으로도 작가에게 관심갖는 일은 거의 없을 것 같다.

그들은 그렇게 멀리 강 건너에 있는 것처럼 보일 듯 보이지 않는, 알듯 말듯한 그런 상태로 있어주길 바란다.

반란자들이라고 했지만 그들 가운데는 '투사'가 있는가하면 '도망자'가 있고 또한 '중재자'가 있었다.

그리고 그들과는 그들의 작품을 통해 재회 하리라.

거기서 그들이 투사였는지 도망자였는지 아니면 중재자였는지 내 눈으로, 내 마음으로 정해가리라.

293쪽 '비슬라바 쉼보르스카의 말' : "모든 사물은 적어도 여섯개의 시각, 다시 말해 네 방향과 위아래 두 방향에서 볼 수 있잖아요."

난 나의 방향에서, 넌 너의 방향에서, 그들은 그들의 방향에서 세상을 바라보며 살아가면 되는 것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