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을 하나의 부족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단두 가지만 있으면 된다.
공통의 관심사소통

방법소통 방향은 다음 네 가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리더가 부족에게
부족이 리더에게
부족원이 부족원에게
부족원이 외부인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족tribe은 하나의 아이디어로 연결된 집단이다.
부족의 구성원들은 리더와 연결되어 있고, 동시에 서로가 서로에게 연결되어 있다.
수백만 년 동안 우리 인간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부족에 속해 생존해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략이란?

전략이란 무엇인가? 누군가가 그 정의를 물어보면 사에구사는 이렇게 대답한다. 전략이란 ① ‘전장 · 적‘의 움직임을 ②큰 시각에서 ‘통찰‘하고 ③자신의 ‘강점과 약점’으로부터 ④‘승부의 열쇠‘ 및 ⑤‘선택지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더불어 ⑥‘리스크의 균형‘을 꾀하면서 ⑦‘선택과 집중‘을 통해 ⑧일정한 ‘시간축 안에서 이기는 싸움을 하기 위한 ⑨‘논리‘다. 그리고 그 전략의 실행순서를 ① 장기 시나리오‘로서 ②‘조직 내에 제시하는 것이다. 아직 실행하지 않은 전략은 어디까지나 ‘가설‘이며 그 좋고 나쁨, 즉 이기는 싸움을 할 가능성이 높은가 낮은가를 판단하는 기준은 ‘논리의 강력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업의 시너지사업의 시너지를 얻을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사업 및 상품 간에 연관성이 있다. ②공통된 기술을 사용한다. ③시장 혹은 고객이 겹친다. ④판매채널이 겹친다. ⑤기존의 브랜드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⑥경쟁 상대가 같아서 전략상 연동 효과가 있다. ⑦승리에 이르는 중요한 경쟁요인이 같으며, 새로 시도하는 사업은 그 경쟁에 유리하다. ⑧필요한 사내 조직의 강점이 같으며 그것을 이용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업실적에 관한 나의 사고방식은 이렇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마이클 포터 교수에 따르면, 기업실적은 전략과 실행의 2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전략은 경쟁사들과는 다른 행동을 실행하거나 동일한 활동을 다른 방식으로 행하는 것과 관련된다.

전략은 목표나 목적, 표적이 아니다. 또한 그것은 비전이나 사명, 사업계획서가 아니다. 그것은 몇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경쟁사와 차별화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실행은 결정사항을 행하는 것이다. 실행은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에서 사람들이 협력하고 자원을 동원하는 방식을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