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정민아 2집 - 잔상
정민아 연주 / 소니뮤직(SonyMusic)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리뷰 쓰면서 이렇게 울어보긴 처음이다.
눈물이 앞을 가려 모니터도 잘 보이지 않는다. 

백일하고도 하루 전 나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셨다. 돌아가시기 며칠 전
마지막 통화에서 “미안하다.” 그 한 마디가 아직도 귓가에 맴맴 거린다.
그게 마지막 인사일 줄 알았더라면 더 나중에 하시라고 할 걸...
아니 하시지 말라고 할 걸 그랬다. 그럴 걸 그랬다. 

난 음악을 참 좋아한다. 누구나 그렇듯이.
음악이 가득한 환경 속에서 자란 건 아니지만 어려서부터 음악이 좋았다.
성악도 좋지만 특히 기악을. 그래서 대학 때는 용돈을 모아 구입한 플루트를
함께 교회에 다니던 선배에게 배워서 앙상블 연주를 하기도 했다.
물론 전공자들처럼 멋들어진 연주를 하진 못했지만 소리가 예쁘다는 평도 듣고
그 자체가 참 좋았다. 행복한 시간들이었다. 그리고 바이올린도 배우기 시작했다. 

그런데 나날이 느끼는 거지만 한국의 전통미가 참 끌린다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서가 아니라 희한하게 어려서부터 그랬다.
한옥도, 단청도, 한지도. 그리고 물론 좋아하는 음악, 국악도 그렇다.
국악기 중에 특히 좋아하는 것은 가야금과 대금이다. 

귓가를 통해 마음을 쿵쿵 울리는 현의 소리가 들려온다.
바로 지금 듣고 있는 소리, 정민아의 가야금 연주이다.
기존 뚱뚜둥 뚱뚱 하며 고상한 옛 멋을 자랑하는 가야금 소리가 아니라
모던이라는 제목 그대로 현대인들도 끌릴 만큼 세련된 가락이다.
함께 연주한 베이스 기타 연주도 참으로 돋보인다. 

첫사랑이라는 곡은 사랑에 빠진 봄 처녀의 심경을 노래하는 것만 같다.
이미 두 아이의 엄마이지만 음악을 듣는 이 순간만큼은 난 봄 처녀이다. 

하지만 여러 곡 중에서 가장 나의 심금을 울리는 것은 역시 타이틀인
<잔상>이라는 곡이다. 이 곡은 심플 버전과 오리지널 버전으로 나뉘어있다.
기저에서부터 송두리째 마음을 흔들어 놓는 이 음악을 들으면서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에 더욱 사무친다.
연주자의 손가락 끝에서 잔상의 가락 하나하나가 뜯겨져 나올 때마다
생전 아버지의 모습 그 잔상들이 눈앞에 아른거리는 것이다.
음반 중에 있는 시네마천국이라는 곡처럼 추억들이 머릿속 영사기를 통해 돌아간다. 

혹독하리만큼 추웠던 그 겨울날 떠나신 아버지.
정민아의 가야금 소리는 그 아픔을 덮으려는 듯 봄 어느 날 그렇게 찾아왔다.
오래도록, 참으로 오래도록 가야금 연주를 듣게 될 것 같다.
그렇게 가야금 소리를 통해 아버지를 추억하려는 듯. 

가까운 곳에 가야금 학원이 자리했다. 한 번 찾아가볼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덕 여왕 O.S.T - MBC 창사 48주년 특별기획
폴 포츠 (Paul Potts) 외 노래 / 소니뮤직(SonyMusic)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평소 드라마보다는 다큐멘터리를 즐겨보고 있다.
다만 사극은 조금 챙겨서 보는 편인데 관심은 많았지만
학창시절 취약했던 역사를 재조명 해볼 수 있는 시간이랄까.
물론 역사와 조금 다른 드라마틱한 요소가 많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렇게 생긴 관심으로 인해 역사서를 다시 찾아보게 된다. 

이번에 가장 주목했던 건 바로 선덕여왕.
시청률 40-50%를 오가며 그 인기를 실감할 수 있는 이 드라마는
그야말로 나의 모든 관심을 휘어잡았다.
영화 O.S.T 외에 드라마 O.S.T에 지극히 관심을 가진 것은 이번이 처음. 

사람을 얻는 자가 천하를 얻고, 시대의 주인이 된다
선덕여왕 : 신라 최초의 여왕이자 신라 27대 임금(재위 632~647)
성은 김(金)이고, 휘(諱)는 덕만(德曼), 호는 성조황고(聖祖皇姑), 시호는 선덕이다.
신라 26대 진평왕(眞平王)의 딸이며 어머니는 마야부인(摩耶夫人) 김씨이다.  

사극을 볼 때 역사적 사실과 그 흐름에 더하여 눈 여겨 보는 것이 있는데
바로 미술적 요소이다. 의상과 액세서리, 건물 양식 등에서 당 시대의
문화적 배경을 엿볼 수 있다. 특별히 주목하게 된 것은 바로 음악적 요소이다.
드라마나 영화의 완성도를 더욱 높여주는 것이 바로 O.S.T라고 하지 않던가. 

말발굽 소리 같은 웅장한 Main Title을 듣고 있노라면 마치 격변의 신라,
그 시대의 가운데 서있는 생각이 든다. 격하게 뛰는 심장고동소리가 들리는 듯.
각 인물의 테마곡은 그 인물을 잘 드러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실의 테마와 유리잔. 카리스마와 뛰어난 두뇌회전까지도 그 선율에 실린 게 아닐까.
Come, People of God과 덕만의 테마에서는 한 나라의 주인이 되려는
그녀의 야망이 그대로 전해져 온다. 

최고의 한류 드라마 대장금의 O.S.T 사단이 다시 뭉쳐 만든 작품이며
17세 스타 아이유, 세계적인 뮤지컬 스타 이소정 등 초호화 캐스팅으로 주목을 받은
선덕여왕 O.S.T. 무엇보다도 선덕여왕 O.S.T의 하이라이트는 이것이 아닐까.
뮤지컬 스타 홍광호와 세계적인 오페라 가수 폴 포츠도 함께한
발밤발밤, Passo Dopo Passo.
*발밤발밤[부사] 가는 곳을 정하지 아니하고 발길이 가는 대로 한 걸음 한 걸음 천천히 걷는 모양. 

가질 수 없는, 안을 수 없는 덕만을 나의 왕으로 선언한 유신랑과,
유신랑 대신 신라를 택해야 하는 덕만의 마음을 담은 러브 테마곡이
애절하게 느껴지는 것, 이 음반을 자꾸만 듣게 되는 이유이다. 

곁에도 멀리도 갈 수 없어 눈에도 맘에도 둘 수 없어
차라리 이대로 눈이 멀어 나를 보는 너 조차 몰랐으면
발밤발밤 걸어 나에게로 오는 천개 속의 발소리도 그대란 걸 아는데
발밤발밤 걸어 눈물길을 지나 하루하루 돌아서며 살 수 있을까
발밤발밤 걸어 나에게로 오는 천개 속의 발소리도 그대란 걸 아는데
발밤발밤 걸어 날 떠나가도 겨워겨워 내 안에 품어야지 울어울어 우는 그 마음까지
(노래 홍광호 / 작곡 이시우.조윤정 / 작사 정영 / 편곡 이시우.조윤정) 

왕의 위엄을 표현하는 듯 진한 와인빛깔과 금빛 타이틀이 돋보이는 디자인.
안쪽에는 각 드라마 주인공에 대한 짧은 설명과 더불어 드라마 속 인물 사진이
실려 있어서 음악을 들을 때 인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주고 있다.
다만 표지가 고정이 되어있지 않은데 고정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래야지 더욱 품격이 느껴지고 왕의 위엄을 드높이는 디자인이 되지 않았을까.
아주 소소한 아쉬움을 뒤로 하고 다시 한 번 듣는다. 

선덕여왕 그 웅장한 스케일의 장면 하나하나가 파노라마처럼 눈앞에 펼쳐진다.
어느덧 신라의 그 한가운데서 선덕여왕의 넘치는 위용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