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지력 SOS - 반드시 성공하는 금연, 다이어트 비법
이중석 지음 / 순수와탐구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가벼운 심리교양서나 뇌과학에 기반한 자기계발서를 자주 읽는다. 예컨대, 전자는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관련 에세이, 프로이트 혹은 융 심리학 입문 같은 류고, 후자는 베스트셀러를 거쳐간 <습관의 힘>, <트리거>, <그릿> 등이다.  신간 <심리학 SOS>는 후자인데, 저자 약력이 독특하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삼일회계법인 회계사로 일했고, 그 후에 벤쳐기업 CEO를 역임했다. 이른바 회계사 엘리트 코스의 정석을 밟아왔다. 저자는 왜 의지력을 십 년간 연구하고 책으로 엮었을까. 결실이 궁금했다.



'SOS'는 널 구해주겠어! 식의 흔한 자기계발서 너스레가 아니라, ​Simulation - Observation - Selection ​모형의 약자다. 모형에 따르면, "의지력은 내적 욕구의 발화를 끊임없이 관찰하고 그에 대응할 행동 계획을 지속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다."(P.127) 의지력은 일반적으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처럼 "어떠한 일을 이루고자하는 마음을 꿋꿋하게 지켜나가는 힘", 즉 인내하는 힘으로 이해되거나, 만족 지연 능력 혹은 경제학에서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를 재는 할인률의 개념으로 설명된다. 틀린 이야기는 아니지만 피상적이고 실제 도움이 되지 않는다.(의지력에 접근하는 잘못된 길)


저자에 따르면, SOS 모형은 인류 의식의 진화에서 온 키워드다. 생물학적으로 뇌의 형태가 발달한 시기는 5억 년 전이다. 당시엔 무의식이 지배했다. 반면에, '이성의 뇌'인 전두엽이 현재의 형태를 갖춘 것은 불과 20만 년 전이다. 과연 무엇이 힘이 셀까. 5억 년을 지배한 본능과 무의식이다. 인간의 전통은 지킬 박사보다 하이드에 가깝다. 그러니 통제 강박에서 벗어나 의식의 프로세스를 이해해야 한다.(3장 당신 잘못이 아니다)

 

SOS 모형은 인류가 의식을 진화하는 데 중요한 발화점이 된 "자기 관찰"(observation)과 "시뮬레이션"(simulation) 능력에 주목한다. 결국 무의식과 본능에 반하여 무언가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힘은 의식에서 나온다. 구체적으로 관찰은 트리거(방아쇠 효과)로 유명한 '자각 훈련', 수잰 세거스트롬 심리학 교수의 '멈춤 - 계획 반응', 불교에서 '깨어있기' 혹은 '마음챙김'으로 설명한다.(5장 하이드를 관찰하다) 시뮬레이션은 이케가야 유지의 '마트료시카 구조'와 '리커전', 몬터규 박사의 '앞선 모형', 심리학에서 '실행 의도'와 '만약에 계획'으로 풀어낸다.(6장 미래를 시뮬레이션하다)7장 '의지력의 본질과 SOS 연습 모형'으로 종합한다.



기대 이상으로 학술적이다. <시크릿> 식의 단순한 자기 암시 또는 다른 자기계발서 류의 무한 긍정을 생각한다면 조금 놀라게 된다. 뒷면에 주석이나 '더 읽을거리'에 나온 참고서적들을 보면 얇은 책으로 엮은 것이 신기해진다. 얇은 두께는 새해에 가볍게 읽고 의지력을 다시금 불살라 보라는 저자의 배려였을까. 그러나 알짜배기 개념들이 곳곳에 포진해 있어서 오히려 분량이 더 많았으면 하는 바람이 생긴다. 장기로 비유하자면 이렇다. 차, 포와 같은 좋은 기물들을 엮었는데, 단순히 행마법은 이런 것이다 하고 넘어간 격이랄까. 물론 개념 소개가 주가 아니다. 저자가 고심한 끝에 개발한 실전 장기 포석인 SOS을 설명하기 위한 근거였으니 할 말은 없다. 의지력이란 주제나 뇌과학에 관심이 많다면 다양한 개념과 책을 만나는 촉매체가 되겠다. '더 읽을거리'와 주석을 참고하면 좋다.

의지력은 내적 욕구의 발화를 끊임없이 관찰하고 그에 대응할 행동 계획을 지속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라디오 2017-02-12 10: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읽어보고 싶었던 책인데 서평 잘 읽었습니다~^^
세번째 문단에 인류의 역사가 5억년이라고 되어있는데 오타가 아닐까 생각됩니다ㅎ

캐모마일 2017-02-12 15:42   좋아요 0 | URL
아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확인해보겠습니다. ㅎㅎㅎㅎ

캐모마일 2017-02-12 15:46   좋아요 1 | URL
인류 역사가 오억 년이 아니라 생물체에서 뇌의 형태가 발생하여 무의식이 생긴지가 오억 년 전이었다고 나와있네요. 덕분에 큰 실수 수정합니다. 휴...(안도의 한숨)

고양이라디오 2017-02-13 01:01   좋아요 1 | URL
아닙니다ㅎ 덕분에 저도 더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