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 작가가 세계적으로 명망 있는 문학상, 맨부커상을 수상했다는 뉴스가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2007년 출간된 소설은 금세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채식주의자>를 읽는 것이 유행이었고, 처음으로 한강 작가의 작품을 접했다. 몽환적이고 충격적이었다. 작품은 연작 소설로, 평범한 주부 영혜가 갑자기 채식주의자 선언을 한 후에 일어나는 다소 충격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영혜 남편, 형부, 언니 인혜의 시점이라는 관찰자 방식으로 전개한다.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 불꽃'. 시간순으로 이어지는 연작 소설은 욕망과 억압, 상처의 변주곡이었다. 어느날 꿈을 꾼 뒤 육식을 거부하는 영혜. 그녀를 둘러싼 남성들은 욕망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남편은 그녀가 평범해서 결혼하였다. 그녀 앞에선 열등감과 불안감을 느낄 필요가 없었고, 존재는 있는 그대로 용인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일방의 받아들임, 희생과 욕망의 억압을 기초로 한다. 영혜의 아버지는 압권이다. 베트남전 참전용사로 가정 폭력을 일삼았다. 순했지만 고지식한 영혜는 가장 큰 희생양이었다. 영혜의 형부. 비디오 아트 작가로 현실 감각이 떨어지고 비상하는 날개 이미지에 천착한다. 아내 인혜에게서 처제의 몽고반점 이야기를 들은 후 야생적이고 원초적인 매력을 느끼고, 욕정과 감각이 들끓기 시작한다.

 


반면에, 영혜와 언니 인혜는 스스로 욕망을 억압한다. 상대방을 받아들이고 감내하는 데 익숙하다. 그러나 영혜의 내면은 트라우마와 공격성, 억눌린 욕망이 잠재하고 있었다. 평범하고 수더분한 외면에는 어릴 적 학대로 인한 학습된 무기력, 반면에 억압된 내면의 도덕적 반동이 도사리고 있다. 브래지어를 강박적으로 거부했던 행위도 마찬가지다. 어느 날 영혜는 고기를 칼로 썰다가 손이 베였고, 피를 본 다음 날 꿈을 꾸기 시작한다. 어두운 숲 속 헛간에서 날고기를 씹어먹는 꿈. 익숙하면서도 낯선 피 묻은 자신의 얼굴. 억눌린 것들은 우연하고 갑작스레 튀어나온다. 그녀는 충격으로 불면에 시달린다.

 


영혜는 채식주의를 선언한다. 학대를 일삼던 아버지에게 대들고 복수를 하거나, 남편에게 억눌린 감정을 쏟아내지 않는다. 억울함을 토로하지 않는다. 공격성과 욕망의 이미지를 거부한다. 육식은 이미지들의 집합이자 현실태였다. 채식은 철저한 비폭력 지향이다. 주변인들은 이해하지 못한다. 그녀의 "꿈을 꿨어.", "저는, 고기를 안 먹어요."에 담긴 함의를 모른다. 오히려 탕수육을 억지로 먹이기 위해 그녀를 결박하고, 뺨을 후려갈긴다. 그녀는 칼로 손목을 긋는다.

 


영혜는 나아가 식물이 되기를 꿈꾼다. 다른 개체에서 영양분을 수탈하지 않고 광합성을 하며 스스로 자립하는 식물. 땅속에 굳건히 뿌리내리는 나무를 꿈꾼다. 나체로 햇빛을 영접한다. 물구나무를 선다. 일체 음식과 저작운동을 거부하기 시작한다. 특히 그녀의 음부에서 꽃이 피는 상상을 한다. 성스러운 생명의 탄생처이자, 때로는 성적 욕망의 집결지인 여성의 회음부. 영혜는 욕망은 거부한 채 생명의 역동성만을 받아들였다. 한때 형부가 그녀에게 행위 예술을 주문했을 때, 물감으로 꽃과 줄기를 몸에 채색하고 형부의 후배 J와 정사행위를 표현하며 젖었다. 그러나 흥분의 대상은 육체가 아니라 꽃의 이미지였다. 교미가 아니라 교접이였다. 영혜는 육식의 거부, 저항 단계를 넘어서 능동적인 비폭력의 존재, 꽃을 피우는 생명의 존재, 꽃처럼 아름다운 존재를 꿈꾼다. 오히려 정신병원에서 그녀에게 강압적으로 행해지는 연명 행위들이 폭압으로 다가온다.

 


영혜의 언니인 인혜. 또다른 희생자다. 생활력이 강하고 자수성가형 인물이지만, 아버지, 남편에게 희생했다. 전문직이 다수인 시댁 분위기, 남편의 예술적 기질은 살림꾼 그녀가 갖추지 못한 일종의 동경거리였다. 남편의 취향을 존중했다. 가족이 내놓은 동생을 끝까지 책임진다. 아버지에게 술국을 끓여주는 맏딸 노릇을 하며 상대적으로 가정 폭력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그녀. 한편으론 비겁했다며 동생에게 부채의식을 갖는다. "막을 수 없었을까. 영혜의 뼛속에 아무도 짐작 못할 것들이 스며드는 것을." (p.192) 과거를 하나하나 반추하며 이랬다면 어땠을까. 저랬다면 어땠을까를 되뇐다. 영혜가 "꿈을 꿨어"라고 한다면, 인혜는 "시간은 흐른다", "시간은 멈추지 않는다"고 한다. 그녀에게 삶과 시간은 책임감의 연속이다. 책임감은 반성을 요구한다. 도덕적 자학자로 보일 지경이다. 인혜는 말한다. 동생이 변하지 않았다면 변한 것은 바로 자신이었을지 모른다고. "시간은 멈추지 않는다"는 문장이 너무나 아프다. 인혜가 무거운 현실의 짐을 지고 가야 하는 여정, 쉼이 없다. "시간은 멈추지 않는다."

 


<채식주의자>가 맨부커상을 타지 않았다면 베스트셀러가 될 수 있을까. '채식주의자'란 제목의 이미지와 다르게, 몽환적이고 충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 명망 있는 상을 받은 덕분에 나 같은 독자도 읽을 기회를 얻게 되었다. 소설을 읽을 당시 큰 여운이 없었다. 정작 다음날 가슴이 먹먹하고 저려왔다. 폭력과 비폭력, 욕망과 억압의 표상들이 다가왔다. 상처와 욕망, 억압이 없는 인간이 어디 있으랴. 영혜의 이야기는 절절했지만 내심 카타르시스가 느껴졌다. 인혜에게선 생활인의 연민과 떠나지 못하는 자의 설움이 다가왔다. 인혜에게 공감이 갔다. 우리네 삶은 영혜보다 인혜에 가깝지 않던가. 상처와 억압, 욕망을 독특하고 충격적인 변주곡으로 풀어낸 작품 <채식주의자>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0-11 10: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솔직히 말하면, 저는 맨부커상 수상 소식을 들은 이후에 이 소설을 읽었습니다. 한강이 맨부커상 후보에 들지 않았으면 전 이 책을 영영 안 읽었을 겁니다. ^^;;

캐모마일 2016-10-11 12:05   좋아요 0 | URL
멘부커상 수상 전에는 사실 이름 독특한 작가로만 알고 있었어요. 알고보니 영화화도 돼서 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