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죽음 1~2 세트 - 전2권 - 베르나르 베르베르 장편소설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함지은 북디자이너 / 열린책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 작가의 신작 <심판>이 출간되었다. <인간> 이후로 작가가 쓴 두 번째 희곡이라고 한다. 올 초여름 <기억>이 나온 것을 생각하면 베르나르 베르베르 작가는 한국 독자에게 다작형 작가로 자리잡은 듯하다. 신간이 꾸준히 출간되는 데다 일단 나오면 베스트셀러에 오르고. 또 그 틈새에 기존 소설의 리커버 판까지 계속 나온다. 마치 휴식기가 없는 작가로 인식이 박혀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죽음>은 2019년 5월에 출간된 소설로 신간 <심판>, 올해 나온 <기억> 이전 작품이다. 내가 처음 읽고 작가의 팬이 된 작품이 <타나토노트>여서인지 <죽음>에 유달리 관심이 갔다. <타나토노트>란 제목 자체가 그리스어 타나토스(죽음)과 나우테스(항해자)의 조합이다. 내용은 모르지만 타나토노트의 한 축인 타나토스를 직접적으로 다뤘기 때문에 옛 추억을 떠올리지 않고 못 베기게 만들었다.



사족이나 잠시 <타나토노트>를 설명하자면, 소설은 사후세계를 밝히는 영계탐사단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인위적인 실험으로 임사 체험을 유도하여 영혼을 영계로 보내는 과정이 호러, 스릴러,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를 넘나드는 것 같았고, 사후 세계 묘사 또한 기발했다. 윤회를 하면서 마일리지를 쌓아간다는, 지금은 조금 유치해보일 수 있는 설정까지도 신기했을 정도였다. 베르베르 월드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상의 인물, 에드몽 웰즈가 쓴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에서 인용한 내용은 작품에 신화적이고 종교적인 색체를 더했다. 나는 자부한다. <개미>파가 성골이라면 <타나토노트>파도 진골쯤은 될 것이라고. 비록 <천사들의 제국>이나 <신>처럼 직접적인 시리즈는 아니지만, <죽음> 또한 <타나토노트>의 연장선에 있는 작품이라고 본다. 



<죽음>은 대중적인 인기 작가 가브리엘 웰즈의 돌연사로 시작한다. 이후는 스포일러 포함이다. 죽음을 소재로 한 장편 소설 출간을 앞두고 갑작스럽게 본인이 현실에서 죽음을 맞이한 주인공 가브리엘 웰즈가 영혼이 되어 자신의 죽음에 얽힌 미스테리를 밝혀 나간다는 스토리다.



내용 자체가 베르베르 작가 팬에게 어필하기 충분하다. 여기에 베르베르 월드의 매력적인 설정을 시즈닝처럼 곳곳에 아주 엄청나게 뿌려놓았다. 연금술과 영매술, 드루이드를 포함한 신화적 설정들을 배치해 놓았고, 주인공 자체가 작가의 작품세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저작자인 에드몽 웰즈와 작은 손자뻘 관계다.



게다가 주인공은 이미 영혼이 된 대작가들과 만나고 얽히기까지 한다. 주인공이 <셜록 홈즈>의 작가 코난 도일에게 추리를 직접 부탁하고, 이미 영혼이 된 대작가들이 편을 나누어 펼치는 토론과 전쟁에 참여한다. 도스도예프스키나 괴테처럼 기성 평론가들에게 불멸의 고전으로 인정받은 작가들에 맞서서, 코난 도일과 러브 크래프트를 비롯한 이른바 상상력 작가 진영이 편을 짜서 대항한다. 셜록 홈즈가 버스커빌가의 개를 불러오고 러브 크래프트가 크툴루를 소환한다.



그래서 결국 가브리엘 웰즈는 왜 돌연사를 했고 범인은 누구인가? <죽음>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타나토노트>보다 친절하고 성실하게 설명해 준다. 더러는 고차원의 세계에 도달한 가브리엘 웰즈에 경탄할 것이고, 더러는 황당하고 어이없게 느껴질 것이다. 내 입장에선 후자라고 해서 꼭 틀에 박힌 기존 문단 권력형 독자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른바 상상력 문학을 좋아하고 고전 문학에 조예가 깊지 않은 나도 좀 황당하고 어이없었다. 



짐작했듯 주인공 가브리엘 웰즈는 베르나르 베르베르 작가가 본인을 투영시킨 인물로 볼 수 있다. 작가는 우리나라에선 누구보다 사랑받지만, 다른 나라에선 우리나라만큼 대우가 영 좋지 못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장르 작가라는 이미지 때문에 기성 비평가에게 그닥 호평을 못 받는 것으로 안다. 그러니 기성 비평가들이 찬양해 마지않는 고전 작가들, 기존 문단 권력들을 한 축에 놓고, 대중성을 가진 장르 작가들을 다른 축에 상상력 작가 집단으로 놓아서 서로 전쟁을 벌인다는 설정을 쓰지 않았을까. 아마 작가의 팬이라면 이 부분에서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을 캐치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죽음>을 읽으면서 <타나토노트>만큼의 충격과 영감을 받지 못했다. 열혈팬들에겐 작가가 직접 자신을 투영한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본인의 작품 세계를 한껏 버무려 만들어준 축복같은 소설이겠지만, 베르베르 월드에 가입하지 않은 독자에겐 작가의 욕심으로 읽히기 십상이다.



이제는 베르베르 작가에게 큰 기대를 걷을 때가 온 거 같다. 아이디어와 상상력은 괜찮다. 하지만 작가의 작품 세계에 어느정도 익숙하고, 팬인듯 팬이 아닌듯한 나같은 독자에겐 기존 세계관을 답습하는 것처럼 보였다. 무엇보다 예전처럼 정교하지 않고 헐겁다. 마치 작가가 받은 영감을 스케치해서 다듬거나 채색이 덜 된 채 독자에게 전달한 느낌이다. 기대가 커서 실망을 했을까. 별 생각 없이, 부담 없이 읽었다면 소설 <죽음>에 담긴 상상력이나 아이디어를 더 멋지고 재밌게 만났을텐데. 독자로서 스스로 아쉬움도 든다. 이제는 작가에게 큰 기대를 걷을 때가 온 거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라디오 2021-08-24 10: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언제부턴가 베르베르 작가에게 큰 기대를 걷었습니다ㅎ 어렸을 때 초기작(개미, 뇌, 아버지들의 아버지, 타나토노스 등)들을 감탄하며 재밌게 봤었는데 지금은 그냥 부담없이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작가로 변했습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