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칭찬의 힘 - 나와 세상을 변화시키는 위대한 힘
어린이행복발전소 글, 박종연 그림 / 청우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를 위한 칭찬의 힘 - 현희(어린이행복발전소) 지음>
 

  이 책 <어린이를 위한 칭찬의 힘(이하 칭찬의 힘)>의 각 장은 저자의 경험담으로 시작해서, 소설과, 전기와, 대화록을 거쳐, 체크 포인트(혹은 매뉴얼)로 마무리 짓고 있다. 사실과 허구를 짝지어 배치하고 끄트머리에 실천 방법을 제시하는 형식인데, 이는 아이들에게 교훈을 주는 데는 물론이고 학부형이나 교사에게 제시하는 지침서로도 썩 훌륭한 짜임새로 보인다.

  ‘칭찬의 힘’은 틀림없이 가르침을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계몽서이다. 가르침의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터이다. ‘회초리나 잔소리’도 그 중 하나이고 심지어 ‘눈물과 포옹’도 때에 따라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 중 하나가 서사(이야기)일 텐데, ‘칭찬의 힘’은 바로 이 방법을 택하고 있다. 자, 그럼 이 책이 이야기로서의 흥미와 교훈, 두 마리의 토끼를 어떻게 획득하는지 살핀다.  

 

들어가는 글   

  이것은 신뢰라고 할 수도 있고, 친근감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저자는 본인이 경험한 소박한 일화를 책머리에 소개함으로써, 책을 보는 동안 ‘읽는다’라기보다는 ‘듣는다’는 느낌을 준다. 제시하고 있는 일화들은 적절한 직접 인용과 세밀한 묘사를 통해 읽는 이로 하여금 쉽게 감정 이입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실화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기보다는 저자의 진정이 흠뻑 배어 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하겠다. ‘디테일’을 완성하는 것은 상상력이 아니라 경험이니까. 그렇게 ‘칭찬의 힘’은 신뢰와 친근감을 획득한 후에 본문으로 들어간다.

Part 1

  본문은 동화로 시작한다. 모든 주인공은 관계의 문제를 안고 있고 그것들은 그가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방해한다. 도전은 편견에 의해, 꿈은 현실에 의해, 자신감은 시기와 질투에 의해 좌절의 위기를 맞는다. 이런 설정으로 시작한 이야기는 어쩌면 예측 가능한 교훈으로 마무리 되는데, 이는 ‘문제’라기보다는 ‘당위’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이 타협(흥미와 교훈 사이에서)해야 하는 부분이 바로 이 지점일 텐데, 작가는 그 지점을 예상 가능한 곳으로 설정해놓고 그 안에서 재주를 부리기로 마음먹은 듯하다. 때문에 관건은 ‘확장’이 아니라 정해진 틀 안에서의 ‘밀도’인 것이다.

  여기부터 작가의 상상력과 장르적인 재주가 발휘 된다. 실려 있는 세 이야기 모두 매우 잘 읽히는데 그 이유는 대략 이러하다.

1. 뚜렷하고도 매력 있는 주인공 캐릭터

2. 모든 어린이들의 고민에 쉽게 대응 가능한 그들의 고민.

3. 시각적 상황 묘사와 사실적인 인물 묘사.

4. 흥미로운 리듬을 만들어내는 간결한 문체.

5. 단순하되 견고한 플롯.

6. 무엇보다도 위의 요인들이 자아내는 긴장과 이완의 적절한 배치.

  책의 전체를 통틀어 작가의 능력이 가장 밀도 높게 드러나 있는 부분이다.

Part 2

  아이들에게 교훈을 주기에 가장 직접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글쓰기 틀이 ‘위인전’일 것이다. 우화가 시(詩)라면 전기는 ‘르포’일 것이다. 르포의 힘은 ‘실재함’이 근본이다. 작가는 그 힘을 빌리기 위해 픽션의 울타리를 넘어 넌픽션의 경계 안으로 들어온다. 독자들도 군말 없이 따른다. 이미 이야기꾼의 다음 이야기를 듣기 위해 안달이 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놀라운 점은 ‘Part 2' 역시 ’Part 1'과 마찬가지로 매우 드라마틱하다는 것이다. 사건은 매우 긴박하거나 애타고, 인물에는 쉽게 감정이입 된다. 그 이유의 상당 부분은 ‘사실이 그러했음’일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이야기가(실재이든 허구이든) 글로 옮겨짐에 있어 최소한의 윤색이 필연이라면 작가의 재주가 이 장에서도 여지없이 발휘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숨은 이유는 바로 그것이다.  


Part 3

  가장 흥미로운 형식을 띠고 있는 장이다. 허구와 실재가 서로 만나고 있다. 이 쯤 되면 독자들에게 허구와 실재의 경계는 무의미해진다. 작가는 본인이 만들어낸 인물과 실재하고 있는 인물을 책 속에서 만나게 한다. 이는 방금 전에 3인칭 시점으로 지켜보았던 인물을 1인칭 시점으로 대면할 뿐 아니라 직접 이야기를 나누는듯한 느낌을 주는데, 이 가상의 공간은 그 자체로서 묘한 울림을 준다. ‘안티’와 싸워 이기고 꿈을 이룬 선배가 어린 후배에게 들려주는 따뜻한 조언과 그것이 만들어내는 아늑한 공기. 그 촉각적인 감동.

체크 포인트

  술술 읽히는 책들은 많은 경우 쉽게 잊힌다. 그런 의미에서 이 페이지는 흥미롭다. 서사의 감동으로 어린이들을 이끌어 칠판 앞에 앉혀 놓고 숙제를 낸다. 그 숙제를 받은 어린이들은 과연 한숨을 쉴까?

  이 구성은 얄미운 구석이 있다. 이 페이지를 다른 이야기들에 앞서 우선 제시했다면 양상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숙제를 좋아하는 어린이를 누군들 보았을까. 하지만 차근차근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소통하여, 믿음을 준 후에, 자신감을 갖게 하고, 드디어 숙제. 이미 아이들은 이 숙제가 자신에게 왜 필요한지, 하고 나면 무엇이 달라지는지 알고 있는 바, 기꺼이 실천하게 될 것이라는 것. 그리고 그 숙제를 누구나 해낼 수 있다는 것.

  작가는 어쩌면 아이들과 어떻게 하면 믿음을 주고받을 수 있는지 매우 잘 알고 있는 선생님이어서 어린이들은 선생님의 숙제를 꼼짝없이, 하지만 즐겁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숙제 검사는 우리 모두가 두고두고 해야 할 일이다.  

* 오해, 질투, 따돌림과 그로 인한 반칙, 반목. 이 책 안에서 이 모든 것들은 ‘반성’을 통해 해소 되고, 그런 후에야 성취가 이루어진다. 핵심어인 ‘칭찬’과 더불어 이 책엔 쓰다듬거나 포옹하는 장면이 적잖이 나온다. 성취가 ‘탐욕만의 성취’가 되지 않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반성이고 그러기 위해서 지혜로운 어른의 ‘어루만짐’과 ‘안아 주기’가 필요하다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의 숙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