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박민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엔 '추한 사람'에 관한 문제이다. 추한 것을 다루는 것은 쉽다. 그건 그냥 눈살을 찌푸리거나 고개를 돌리거나 좀더 적극적이라면 뜯어고치거나 없애면 된다. 하지만 대상이 '추한 사람'이라면 어렵다. 추한 사람은 내 동포일 수도 있고, 내 이웃일 수도 있고, 내 가족일 수도 있고, 나일 수도 있다.

박민규는 이 문제에 대해 근본을 파헤치지는 않는다(혹은 못한다). 파헤쳐 봤자 정답이란 것이 나오진 않을 테니. 그 대신 그것을 대하는 '올바른 태도'에 대해 말한다. 남자 주인공인 '나'는 추녀인 '그녀'에게 친구하자고 제안하고 이내 서로 사랑하게 된다. 어째서 미남인 '나'가 추녀인 '그녀'에게 끌렸는지 소설은 그럴싸한 개연성을 마련해 놓고 있지 않다. 그런 게 중요하지 않다는 태도다. 동의한다. 작가는 서사적인 개연성이 필요한 부분에 적잖이 이런 식으로 피해 간다.

생각해 보니 인생은 과연 싱거운 것이었다.

뭐, 누구나 애환은 있는 거니까

그게 인간이야  등등.

작가 스스로는 이를 미진함으로 보지 않고 ‘관건이 아니다’라고 보는 듯싶다. 동의한다. 부조리는 개연성이 해결해 주는 것이 아니니까.

 

그는 다만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다. 당시는 좋은 것이 옳은 것을 이기기 시작한 시대 였다 고. ‘좋은 것’이 호오의 문제라면 ‘옳은 것’은 선악의 문제일 것이다. ‘좋은 것’이 감각의 문제라면 ‘옳은 것’은 이성의 문제일 것이다. ‘좋은 것’이 말초적이라면 ‘옳은 것’은 성찰적일 것이다. 그는 우리에게 성찰을 요구한다.

그는 개체군(평균)이 평균 이하의 개체를 어떤 식으로 괴롭히는지, 선두 그룹의 소수 개체에게 어떤 식으로 복종하게 되는지를 설명하려 한다. 본문에는 7,80년대의 경제 상황과 대중문화의 소비 형태와 매스미디어의 영향 등을 슬쩍슬쩍 비꼰다. 그리고 그것들이 지금의 천박함을 어떤 식으로 조장해 왔는지 암시한다.

작가는 7,80년대를 이야기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이야기한다.
빙크로스비, 마돈나, 찰슨브론슨, 크리스밋첨, 로버타플랙, 까뮈, 닐영, 블랙사바쓰, 핑크플로이드, 생택쥐페리, 밥로스, 장그르니에, 특히 존레넌과 밥딜런

그런데 현재를 이야기하면서는 단 한명의 이름만 들고 있다.

브리트니 스피어스. 게다가 노래 제목은 베이비 원 모어 타임.

이것을 단순 비교하여 현재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천박하냐를 이야기한다면 무리이겠지만
적어도 ‘얼마나 노골적이냐’를 이야기하는데는 딱이지 않은가? 

과문한 탓에 전문가, 또는 호사가들이 박민규를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지 들은 바 별로 없다. 내가 염려 안 해도 아는 사람은 다 알겠지만 이 사람은 매우 정치적인 소설가이다. 그의 전작들을 보면 이 사람이 반미반자본주의자인 것을 쉽게 눈치챌 수 있다. 착한 사람같으니. 하지만 주변에서(평단이나 시장에서) 그를 그렇게 바라보지도, 부르지도 않는다. 이건 마치 '괴물'이라는 (꽤) 노골적인 반미 영화가 나왔을 때 기겁을 하고 개봉을 막았어야 할 부류의 인간들이 '이건 정치적인 영화가 아니'라고 호들갑 떨던 현상과 흡사하다. 누가 물어? 딱한 사람들같으니.


어떤 의도도 지니지 않은 채 그냥 태어
세상이 내뱉는 말, 던지는 시선의 폭력에 시달리다 독일로 이민 간 그녀는 이렇게 말한다.
한국에서 겪은 일들은 매우 야만적인 것이었다고.
자, 이건 한국에 대한 이야기이다.
독일은 천국이냐고? 물론 아니다. 그러나 여기보다 더 나은 곳이 지구 어디엔가 있다고 작가는 말하고 있다. 한 걸음 만큼이라도 더 나아져야 할 것 아닌가. 진보해야할 것 아닌가.

박민규는 ‘美醜(미추)’의 이데올로기가 일으키는 도저한 부조리에 대해 만족스런 성찰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정도면 괜찮다. 모범 답안은 잊지도 않거니와 결국 세상의 매듭을 푸는 것은 시간 일 터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