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불편은 모욕을 동반하지만 않으면 오랜 기간이라도 불평 없이 견딜 수 있다. 병사나 탐험가들이 그런 예다.

어머니가 딸에게 대답한다. "우리와 사귀고 싶어 죽을 지경인 사람들은 우리가 사귈 만한 사람들이 아니야. 우리가 사귈 만한 사람들은 오직 우리와 사귀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 뿐이란다."

가장 견디기 힘든 성공은 가까운 친구들의 성공이다. 

시도가 없으면 실패도 없고, 실패가 없으면 수모도 없다. 

우리가 얻을 수 없는 무엇인가를 가지려 할 때마다 우리는 가진 재산에 관계없이 가난해진다. 

다수는 착하지도 않고 지혜롭지도 않으므로, 친절보다는 엄격함에 의지해야 한다. 

부르주아지는 개인적 가치를 녹여 교환가치를 만들어 냈다. 

노동자는 고통을 느낀다. 

우선 분명한 점은 삶이 '비평이 필요한 현상'이라는 것이다. 

어떤 것에 계속 눈이 가는 상태에서 벗어나는 가장 빠른 방법은 그것을 사는 것일지도 모른다. 어떤 사람을 자꾸 보게 되는 상태에서 벗어나는 가장 빠른 방법이 그 사람과 결혼하는 것임과 마찬가지다.

세상에는 이야기를 나눌 가치도 없는 사람들이 들끓는다.

이 세상에서는 외로움이냐 천박함이냐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밖에 없다(쇼펜하우어의 말 인용).

불안은 야망의 하녀다.

 
알랭 드 보통의 연애 소설은 최고다.
소설 이외의 책은 이것이 처음이다.
뭐 나쁘지 않다(최고는 아니란 얘기다)
그는 현대인이 느끼는 불안의 총체를 심리학과 경제학과 그의 전공인 철학 이론들을 버무려, 불안을 정의하고 원인을 진단하고 해법을 처방한다.
(특유의 유머를 때때로 섞는 것도 잊지 않았고)
그래 나쁘지 않다. 시도는 괜찮다.

하지만 그가 전하는 메시지는
이 빌어먹을 사회를 바꾸고자 하는 이들에겐 상식 수준일 뿐이고
이 빌어먹을 사회를 (도대체 어쩌자고) 그냥 두고 싶은 이들은 설득하기엔 매가리가 없다.
(나도 잘 안다 그들의 귓구녁을 여는 일이 얼마나 지난한 일인지, 그에 앞서 그런 편가르기가 얼마나 위험한지, 그에 앞서 내가 이런 말을 하는 일에 대해 어느 정도 자격 결핍인지)
또 그러나, 이 책 한 권이 이문열의 삼국지 한 질에 비하면 얼마나 소중한가.
(비교 자체가 알랭드보통에겐 실례지만)
적어도 이 책은 이문열이 그랬듯이 처절한 자본쟁탈전이 벌어지는 이 지구에서 (필론의) 돼지처럼 굴진 않고 있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