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정 - 정명공주와 광해군의 정치 기술
박찬영 지음 / 리베르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TV에서 임진왜란이 발발했던 조선 중기의 시대상을 그려낸 2개의 역사드라마가 시청자들에 의해 제법 인기를 얻고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화정이다. 독자의 입장에서는 조금은 낯설게 보일 수도 있는 화정이라는 말은, 조선시대 최고의 서예가로 평가받았던 정명공주가 남긴 처세훈으로 문맥의 쓰임새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지만, 문자 그대로 직역해 본다면 빛나는 정치 혹은 화려한 정치로 풀이할 수 있다. 화정이란 말을 남긴 정명공주는 선조와 인목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당시 왕위계승의 유일한 적자였던 영창대군이 바로 그녀의 친 동생이기도 하다. 역사자료에 따르면 선조는 나이 50세가 넘는 늦은 나이에 정명공주를 어렵게 얻은 탓에 각별한 애정을 쏟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녀의 이복오빠였으며 아버지 선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광해군도 총애했다고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녀의 그러한 행복한 삶은 오래 지속될 수 없었다. 그녀의 외척들이 권력쟁탈에 눈을 돌리면서 서자인 광해군을 대신해 영창대군을 옹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다가 발각되었는데 이 사건은 결국 계축옥사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고 그 결과 정명공주는 어머니와 함께 서궁에 유폐되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그야말로 고통스러운 인고의 세월을 견뎌야만 했다. 정명공주는 임진왜란 직후 선조의 적통으로 태어나 83세의 나이로 숙종이 재위하던 시기에 죽음을 맞이하기까지 장수한 왕녀로써의 삶을 살았지만, 대외적으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과 같은 외세의침입이 있었고 내부적으로는 당파싸움이 가장 치열했을 만큼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이 책은 그러한 관점에서 당시 시대상을 돌아보면서 화정이라는 말에 담긴 실질적 의미와 함께 우리의 정치현실을 재조명해보고자 했다.


이 책은 국태민안을 안중에 두지 않고 오로지 권력 암투를 향한 양반사대부들의 대립과 분열에 기인되어 당쟁의 시초가 되었던 조선 선조 때를 시작으로 이후 광해군과 인조를 거쳐 당쟁이 가장 극심했던 숙종 시기에 이르기까지 암울한 정치사의 내용이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그와 함께 같은 시기에 정치적 희생양이 되어 파란만장한 인생의 고비를 넘어왔던 정명공주가, 자신의 고단했던 삶의 여정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관용, 타협, 상생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화정이라는 처세훈이 등장하게 된 역사 속 사건의 내막이 촘촘하게 드러나 있다. 책 속의 내용을 살펴보면 당쟁의 시초는 선조 8년 즈음에 학연과 지연이 원인이 되어 동인과 서인으로 갈라졌음을 볼 수 있는데, 곧이어 전란의 장기화가 이어지면서 패전에 대한 책임문제와 광해군 세자책봉의 문제로 점차 확대되었다가 인조반정을 계기로 정치적 갈등이 고착화 되어가는 양상의 흐름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책에 따르면 조선시대의 정치사를 보는 시각이 대체적으로 왕권보다는 신권을 중심의 사회였다는 사실을 확연하게 인지시켜준다. 광해군은 임란이 끝난 직후 혼란스러운 사회를 안정시키고 명나라와 후금과의 껄끄러운 외교관계에 적절히 대처하는 의연한 모습을 보였지만, 당쟁의 폐해를 억제하는 과정에서 이이첨과 정인홍이 주축이 된 대북파의 책동에 휘말려 이복동생을 죽이는 등의 패륜적인 행동으로 인조반정을 불러옴으로써 오히려 당쟁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한편 정명공주는 당쟁의 폐해가 불러온 직접적인 피해자였고 더불어 평생을 당쟁의 회오리 속에 숨을 죽이며 살아왔음에도 화정이라는 말을 통해서 조화와 화합을 이루는 빛이 나는 정치를 고대해왔던 듯하다.


역사는 되풀이 된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목적으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에 한 가지는 지나간 과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함이다. 아주 단순한 이치임에도 불구하고 권력에 대한 인간의 욕망인 때문인지 우리는 여전히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지 않나 싶다. 사실 당쟁은 과거나 지금이나 자칫 국가정책과 민생을 외면하고 당리당략에만 치우치게 된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는 것이 분명하지만, 소수 세력의 권력독점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모든 사안을 공론화함으로써 대화와 타협을 이끌어가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을 고려해 볼 때, 오늘날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현실정치에서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에는 틀림없다. 광해군 재위 기간은 전란의 영향으로 다른 무엇보다 국정의 안정이 중요시 되어야 했다. 하지만 광해군은 왕권강화를 목적으로 궁궐을 짓는 무리한 토목 공사를 강행하다가 민심을 잃었고, 설상가상으로 왕세자 시절 그를 옹위했던 측근세력들이 반대파 신료들을 제거하는데 혈안이 되어 무자비한 옥사를 일으킴으로써 인조반정의 빌미를 제공하는 우를 범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우리 정치사의 그 속내를 보면 여당은 물론이고 야당 역시도 국민들에게 충분한 신뢰를 주고 있지 못하면서 점점 정치를 불신하게 만들어 가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정치를 멀리하고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우리의 미래는 희망적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저자는 이 책은 통해 정명공주가 화정이라는 말을 통해 냉엄한 정치 세계 속에서도 자기수양과 애민의 정신으로 정치적 시련을 헤쳐 나왔듯이, 같은 관점에서 많은 독자들이 오늘 우리의 정치현실을 이해하고 그 기저에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배려의 자세가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지 않나 싶다. 따라서 이 책으로 조선 당쟁의 역사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공생의 의미를 담고 있는 화정의 정신을 되새겨 보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