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을 자주 접하는 독자들이라면 작품을 통해서 때로 위안을 받고 감동을 느끼며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일깨움을 주거나, 설사 그것 부분이 아니어도 문학이 주는 즐거움 만끽하게 만드는 기억에 오래 남는 몇몇의 작품들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 번쯤은 남들에게 읽어보기를 권하기도 한다. 그런 시각에서 개인적으로 허삼관 매혈기 이 작품은 근래 들어 읽었던 여러 문학작품들 중에서 가장 마음에 와 닿았으며 감명을 주었고 그래서 문학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꼭 한번 읽어보면 어떨까 싶은 소설로 생각된다. 한때 이 작품을 토대로 연극화 되어 이미 공연으로 관객들에게 선보인 바 있고, 최근에는 영화로 만들어져 한동안 이슈를 이끌 것으로 여겨졌으나 실제로 흥행에는 실패한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각색하는 과정에서 소설에서 보여주는 감흥의 정도가 생각만큼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은 아닌가 싶은 안타까운 생각을 해본다. 사실 이 작품은 오래전 국내에 소개될 당시 나름대로의 관심을 두고 있기는 했지만 실제로 접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것은 아무래도 중국 문학작품의 경우는 삼국지나 수호지 같은 고전문학들이 익숙해져 있는 관계로 현대문학은 조금은 생소하거나 낯설게 여겨지는 일종의 주관적인 선입관에 의한 이유도 있었겠지만, 한편으로 여타 외국작품에 비해 중국의 현대문학작품이 생각만큼 많이 소개되고 있지 않다는 점도 크게 한 몫하고 있다고 본다. 이 소설의 작가는 위화는 허삼관 매혈기를 발표할 당시에 세계 문단으로부터 극찬을 받음으로써 중국 제3세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만큼 비중 있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작품 속 주인공 허삼관은 성안에 있는 생사 공장에서 누에고치를 대주는 투박하면서도 순수한 마음씨를 가진 성격의 인물이다. 그는 삼촌으로부터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던 도중에 피를 팔아본 남자는 그 자체로 건강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또한 여자를 얻을 수 있다는 소리를 듣게 된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의 피를 팔기 위해 성안으로 오게 된 근룡이와 방씨라는 남자를 우연히 만나면서 이들과 함께 돈을 받고 피를 파는 일에 선뜻 동참하기에 이른다. 생각했던 것 보다 제법 많은 돈을 받게 된 그는 이후 알뜰하게 저축한 돈으로 결혼을 하기로 마음먹고 성안에서 제법 미인으로 소문난 옥란을 부인으로 삼기 위해, 그녀의 아버지를 만나 어렵게 구혼을 허락받아 마침내 그녀와 결혼을 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결혼 후 5년 동안 일락, 이락, 삼락으로 이어지는 세 아들을 낳고 안정된 생활하는 과정에서, 그는 자신이 첫째 아들 일락이가 부인 옥란이가 자신과의 결혼 즈음에서 부정을 저질러 낳은 남의 자식이라는 소문을 이웃사람들에게 듣고 집으로 돌아와 옥란을 채근하여 사실을 확인한 후부터 일락이와 옥란이를 홀대하는 것은 물론이고 집안에도 신경을 쓰지 않는 등의 호기를 부린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마음 한편에는 자신도 한때 다른 여자와 부정을 저지른 과거가 있음을 상기하고 또한 그동안 애지중지 일락이를 키워 온 애정을 생각해, 마을의 대기근으로 가족의 생계가 힘들어 지거나, 일락이가 간염을 앓고 병원하면서 돈을 필요로 할 때마다, 오래전 자신의 피를 팔아 돈을 벌었던 것처럼 가족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소설은 피를 팔아가며 가족의 안위를 책임져야 하는 허삼관의 일대기를 흥미롭게 그려낸 것으로, 작품 전반에 익살스럽고 해학적이며 풍자적인 요소를 곁들여져 있지만 다른 무엇보다 독자의 입장에서 노동자라는 소시민적 삶을 살아가는 주인공 허삼관을 통해 가족애를 향한 휴머니즘의 극치를 맛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이끌만한 작품이 아닐까 싶다. 작품의 내용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전개되는 줄거리 속 배경은 국공합작이 치열하게 전개되던 시기와 이후 문화대혁명으로 혼란스런 중국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담고 있는데, 그 이면에 피를 팔아야만 가족의 생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던 당시 서민들의 삶에 애환이 적나라하게 펼쳐져 있다. 작품 속에서 허삼관은 자신의 아들과 부인 옥란에 대한 애증으로 독설을 퍼부으면서도 마음 한편으로 그들을 어떻게든 감싸 안으려는 애틋한 광경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는 부정하고 싶지만 차마 부정할 수 없는 한 인간의 고뇌에 찬 모습에서 아마도 독자들은 적잖은 인간미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을 해본다. 지금은 찾아볼 수 없지만 우리나라도 과거 한때 피를 팔아 돈을 버는 매혈의 시기가 있었고, IMF와 같은 경제 위기여파로 대량의 실직자들이 생기면서 언론을 통해 가족해체라는 뜻하지 않은 일들이 생겨나고 있음을 본다. 그래서 어떤 면에서 보면 이 작품은 오늘 우리의 현실에 대입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숙고해볼만한 의미 있는 내용을 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피를 판다는 것이 행여 목숨을 앗아갈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아랑곳 하지 않고 자식과 가족의 안위를 위해 묵묵히 받아들이는 주인공 허삼관의 숙연한 모습을 통해 많은 독자들이 잠시나마 가족의 의미와 인간적인 감동의 여운을 가슴 깊이 느껴보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