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변빌라
전경린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소설을 간혹 읽다보면 때로는 작품의 내용과 관련하여 나름대로의 어떤 기대치를 생각하고 있지 않았음에도, 실제 내용을 접하고 나면 왠지 조금은 특별하게 여겨지거나 혹은 자신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을 표하게 되는 경우가 있게 마련이다. 개인적으로는 이 작가의 작품의 경우가 대개 그렇지 않나 싶은 생각을 해본다. 사실 이번 작품으로 실로 오래 만에 전경린 작가의 소설을 접하는 되는 셈이어서 감회가 새롭다. 다른 독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지지는 모르겠으나 그녀의 작품을 읽어 내려가다 보면 우선하여 인상 깊게 느껴지는 것은, 어떻게 이런 표현을 생각해낼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화려하면서도 정제된 문장들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과, 더불어 줄거리의 전개과정에서의 진행되는 이야기에서도 마치 영상처럼 쉽게 떠올릴 수 잇을 것만 같은 장면들을 효과적으로 연출해 냄으로써, 읽는 이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작품으로의 몰입을 하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특히 그녀의 작품에는 대체로 연약해 보이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여 남녀 관계에서 오는 갈등과 고뇌를 거치는 과정에서, 결국은 내재되어 있는 욕망을 분출하려는 또 다른 여성의 강인한 모습을 쉽게 찾아 볼 수 있기도 하다. 그래서 이런 이유로 인해 그녀를 두고 국내에서 연애소설을 가장 잘 쓰는 작가로 불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번 작품은 어떻게 보면 과거 기존의 작품과 비교해 접점이 보이는 유사한 부분이 감지되면서도, 색다른 방식의 이야기를 담고 있어 흥미롭게 다가온다. 따라서 작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독자들이 있다면 한번 읽어보기를 권해본다.
작품 속 이야기는 바닷가에 인접한 어느 외진 소도시를 주요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이 되는 유지라는 이름을 가진 소녀는 어려서 고모부를 아버지로 알고 지내오다가, 성장과정에서 자신의 생부가 아니라는 걸 알게 되고, 또한 작은 이모로만 알고 있었던 사람이 바로 그녀의 친엄마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적잖은 혼란에 빠지게 된다. 중학교시기에 들어서면서 당시 학교 생물선생이었던 이사경이라는 인물이 자신의 고모부와 비교해 성격이나 여러 가지 면에서 무척이나 닮았다고 여기게 되었던 그녀는, 혹시 자신의 아버지가 아닐까 하는 심증을 가지고 엉뚱한 행동으로 문제를 일으키다가, 결국 그쪽 집안과 뜻하지 않은 인연의 끈을 맺기에 이른다. 한편 비밀스럽고 조용한 성격으로 동네 약국을 운영하던 그녀의 엄마는 자기만의 세계를 추구하며 생활해 오던 중에 돌연 일본으로 유학을 가버리게 되고, 홀로 남은 그녀는 피아노 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함께 음악을 공부하던 오휘라는 남자를 알게 되어 사랑을 나누지만 끝내 오랜 관계를 이어가지 못한다. 그러던 과정에서 그녀는 오랜 시간 동안 함께 친근하게 지내왔던 이사경의 부인으로부터 그동안 자신이 모르고 있었던 자신의 어머니와 이사경과의 사이에 얽힌 애틋한 사연을 우연히 듣게 되고, 한때 평범해 보이지 않았던 엄마의 행동과 왜 자신이 그를 아버지로 인식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해의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이 작품은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환경에 의해 자신의 존재를 부정할 수밖에 없는 상태가 되어버린 주인공을 중심으로, 여러 인간 군상들에 의해 나타나는 애증의 관계를 조금은 독특한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어 눈길을 이끈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하나 같이 그 나름대로의 이유 있는 사랑과 이별에 대한 저마다의 사연들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마치 우리가 실제로 이미 경험했거나 앞으로 겪게 될 수도 있는 상황을 압축해서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 같기도 하여 이채로우면서도 기시감 있게 다가온다. 작가는 이 작품을 두고 말미에 정황만 있을 뿐 사건이 없는 소설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독자의 입장에서는 이 작품을 감상하는 상상의 폭이 한층 확대된 느낌을 받지만 상대적으로 시선이 분산되는 것 같은 느낌이 없지는 않다는 생각이다. 작품의 줄거리와 관련하여 전반적인 흐름의 분위기를 보면, 바닷가 마을의 한적한 일상에서 오는 고즈넉하면서도 메마른 따분함과 스산한 음울함이 짙게 배어져 있음이 풍겨지는데, 반면에 한 폭의 그림을 보는 것과 같은 시각적 이미지와 잔잔한 피아노 연주곡이 연상되는 공감각적인 서술이 돋보인다. 이 작품과 연관하여 저자는 인간관계에서 오는 문제를 괄호 속에 담아두고, 타자와는 가급적 부딪치지 않도록 돌아서서 가거나, 변하는 것은 변하는 대로 받아들여 세상과는 최소한 정도로만 연루되는, 그래서 이야기를 억제한 채 감정과 시간만 흐르는 소설을 쓰고 싶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보듯 억제해도 어쩔 수 없이 변화가 생기는 것처럼, 우리 자신도 타인과의 충돌로 말미암아 갈등이 일어나면서 흐름이 바뀌어 구조의 변화가 오고 차이를 만들어 내며 재조정 되게 마련인 것이듯, 결국 그렇게 해서 괄호는 열리고 삶은 그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이 소설은 그러한 관점에서 독자들은 소설 속 등장인물들 간의 미묘한 심리적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감상을 해보면 한결 좋을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