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춘정 문어발 ㅣ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33
다나베 세이코 지음, 서혜영 옮김 / 작가정신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사람들 저마다 나름대로의 개성이 있게 마련이고, 그에 따라 어느 특정한 것에 대해서 그 선호도가 각기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그러한 것들 중에는 우리가 매일 먹게 되는 음식도 마찬가지여서, 같은 음식을 두고도 각자 호불호가 명확하게 갈리고는 한다. 그런데 참으로 묘한 것은 아무리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이라도 계속해서 먹다보면 한번쯤 물리기도 해서 당분간 쳐다보지 않게 될 법도 한데, 그런 통상적인 인식과는 달리 자주 먹게 되는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질리기는커녕, 습관처럼 또 찾게 되는 음식이 누구에게나 한 두 개 정도는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그럴까 몰라도 누구나 자신의 입맛에 맞는 것을 자주 먹게 되고, 반면에 제아무리 비싸고 영양가가 높은 음식이라도 결코 가까이 하고 싶지 않은 음식에는 손이 쉽게 나가지 않게 된다. 그렇다보니 연인들 간에도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서로가 맞지 않을 때, 그것이 원인이 되어 소소한 다툼이 일어나기도 하고 반대로 음식이 서로의 공통적인 관심사가 되어 뜻하지 않은 인연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이 작품이 다루고 있는 내용도 바로 그러한 부분과 연관하여, 음식으로 빚어지는 남녀 간의 다양한 에피소드를 흥미롭고도 정감 있게 그려내고 있어 독자의 눈길을 이끈다. 작품 속에는 즐겨 찾는 음식이 하나의 매개가 되어 남녀가 서로 만나 하나의 공감대를 이루면서 뜻하지 않은 인연의 끈이 되기도 하며, 또 좋아하는 음식이 문제가 되어 상대방에게 적잖은 상처를 주기도 하는, 단편적인 여러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는데, 단편마다 제각기 색다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어서 독자의 입장에서 한번 읽어볼만 하지 않나 싶은 생각을 해본다.
우선 이 작품은 짧지도 길지도 않은 8개의 단편으로 구성된 소설모음집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각 단편의 내용을 읽다보면 마치 맛깔스러운 에세이를 혼합해 놓은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해서, 독자로 하여금 감성이 충만해지는 여운이 매력으로 남는 것이 특징처럼 보인다. 또한 각 소설에는 특색 있는 개별적인 음식을 통한 연인들의 색다른 에피소드가 드라마틱하면서도 아기자기하게 펼쳐져 있어서, 한 권의 작품에서 독자들에게 다양한 감정을 유발하게 만든다는 점도 기존의 작품들에서 찾아보기 힘든 이색적인 부분이 아닐까 싶다. 표지의 제목에서 보듯 이 작품의 대표작으로 보이는 첫 번째 단편은, 주인공 스기노가 그동안 자신의 10년 동안 부인과의 단조로운 결혼생활에 따분함을 느끼던 시기에, 자주 가는 단골 오뎅 가게에서 우연히 학창 시절 여자 동창생과 마주치게 되는데, 이후 서로 만남의 과정에서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미처 생각지 못한 이들의 일탈에 가까운 여정이 흥미롭게 그려져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재미있게 읽었던 두 번째 작품 모정 기쓰네 우동의 이야기는 우동을 너무 좋아한 나머지, 우동 먹는 것이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만든다고 생각하는 어느 돌싱남의 이야기로, 우동을 좋아하며 자신과 비슷한 미각을 가진 한 여성을 만나 결혼에까지 이르지만, 결혼 이후 오히려 우동을 먹지 못하게 되는 의외의 반전이 펼쳐지는 해프닝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의 맨 마지막에 소개되어 있는 된장과 동정이라는 내용은 서양적인 요리를 좋아하는 아내와, 반대로 자신은 전통적인 구수한 고유의 음식을 선호하는 남편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는데, 이 단편은 음식과 연관하여 애틋한 중년의 연민에 대한 사연이 비교적 애잔하게 다가오고 있지 않나 싶다.
이외에 여러 단편들이 담고 있는 내용을 살펴보면, 그 나름대로의 특색을 느낄 수 있는 미묘한 사연의 이야기가 정겹게 전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이 흥미롭게 여겨지는 것은 음식이라는 다소 특이한 소재를 통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이끌어 내고 있다는 것이고, 이것이 입맛에 민감한 변화를 보이는 봄이라는 계절에 초점을 맞추어 독자들에게 전달되어 상당부분 공감을 불러일으키게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작품 속 각각의 단편들의 내용에 따른 그 전후과정의 사연들의 이야기를 살펴보다보면 그 상황이 그럴 수도 있겠다 싶은 생각을 하게 될 정도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다. 다만 조금 아쉬운 것은 소재 자체가 일본의 음식이고 또한 소설 속 남녀의 연애관이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묘한 차이점이 없지는 않아서, 일부 독자들의 경우 약간의 괴리감이 있을 수도 있지 않나 싶은 생각을 해본다. 누구나 식욕에 대해 어느 정도 강한 열망이 있을 것이다. 우리는 자신이 좋아하는 어떤 특정한 음식을 통해 행복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먹기 싫은 음식을 단지 분위기나 상대방의 기분을 맞춰주기 위해 억지로 먹어야 하는 것이라면 이에 대한 심적 고통도 결코 무시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래서 만약 부부나 연인들 간에 음식에 관해 서로 선호하는 음식에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면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반대로 그렇지 않다면 아무래도 불편한 부분이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그런 측면에서 이 작품 속 이야기는 음식과 관련해 남녀의 미묘한 감정을 연결시켜 다양한 인간관계를 보여줌으로서, 독자들로 하여금 사랑과 이해 존중과 배려라는 가치관의 진정한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하지 않나 싶다. 따라서 때로는 연애궁합보다 음식궁합이 더 중요할 수도 있다는 이 책의 내용을 통해, 독자들이 행복을 키우는 또 다른 방법을 배워보는 것도 좋을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