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직업실록 - 역사 속에 잊힌 조선시대 별난 직업들
정명섭 지음 / 북로드 / 2014년 4월
평점 :
근대 사회로 넘어오면서 시대가 빠른 속도로 변하다보니, 그 흐름에 맞게 기존의 여러 직업들이 사라지기도 하고 반대로 생각지 못한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기도 한다. 그래서 한편으로 생각하면 직업은 어느 특정한 사회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이해하는데 있어 하나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도 있지 않나 싶기도 하다. 왜냐하면 직업이란 아무래도 그 사회의 다양한 문화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그러한 과정에서 이런 저런 필요성에 의해 생성 혹은 소멸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기억하는 독자들이 있을지 모르지만, 한때 추노라는 TV드라마가 시청자들로부터 상당한 인기를 끌었던 적이 있었다. 그런데 이런 드라마가 없었다면 추노라는 단어가 어떤 의미를 지칭하는지, 이를 이해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그리 많지 않았을 것이다. 사실 추노라는 말의 뜻은 도망간 노비를 추적하여 데려오는 것을 말하는데, 조선시대에는 이런 일을 전문적으로 맡아서 하는 추노객이라는 노비사냥꾼이 존재했었다고 한다. 이후 고종 때에 노비세습법이 폐지되었고, 갑오개혁 때에 이르러서는 모든 공, 사노비가 법제상으로 해방되면서 추노객이라는 직업은 더 이상의 의미가 없어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우리가 생각해 볼 것은, 이러한 직업의 사례에서 보듯 시대마다 직업이 지닌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서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사회의 여러 부분들을 추측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따라서 직업이라는 것이 시대의 사회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해당 시기에 존재했던 직업 고유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우리의 역사를 세밀하게 관찰해 보는 것도 객관적이면서 폭넓은 역사인식을 돕는 하나의 괜찮은 방법이 아닐까 싶은 생각을 해본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존재했던 20여개 직업의 내용을 면밀하게 들여다보면서, 당시 사회의 일면을 집중조명하고 있어서 독자의 입장에서 신선하면서도 흥미롭고 한편으로 이채롭게 느껴진다. 책 속에는 그 시기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던 여러 직업들을 3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소개 설명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나라에서 지급하는 일정한 녹을 받는 오늘날의 별정공무원에 해당하는 직업이다. 여기에는 현재의 소방관과 비슷한 역할을 했던 멸화군과, 조선 초기 북방정책과 관련하여 첩보를 담당했던 체탐인이 있었으며, 또한 유교가 국가이념으로 자리 잡으면서 상대적으로 몰락의 길을 걸었던 승려들이 한증소를 운영하거나 시체를 거두는 한증승과 매골승이라는 독특한 직업들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많은 독자들이 알고 있는 다모라는 직업은 남녀가 유별하던 그 시기의 정서에 맞는 여자형사임은 분명하지만, 이들의 출신 대부분이 공노비였다는 점은 조금 의아스럽게 여겨진다. 그런데 이런 직업들의 공통점은 조선왕조에서 실시되던 정책에 기인한 필요성에 의해 대두되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그 다음은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대두되는 자영업자에 관한 부분이다. 일시적인 직업에 불과했지만 조정의 소식을 알려주는 관보의 내용을 활자로 인쇄해, 이를 돈을 받고 파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들을 기인이라 부른다. 그리고 출판과 통신이 지금처럼 발달하지 않았기에 책을 내용을 읽어주는 전기수라는 직업이 있었고, 또한 조선 중기부터 점차 한양의 인구가 늘어나고 상업의 발달로 인해 얼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얼음을 팔았던 장빙업자를 들 수 있겠다.
끝으로 본인 스스로가 원하지는 않았지만 먹고 살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선택해야 했던 직업들도 있었다. 이를테면 남의 초상집에 가서 돈을 받고 울어주는 곡비라는 직업과, 죄를 짓고 태장의 형벌을 받은 사람을 대신해서 매를 맞아주는 매품팔이가 그것이다. 이들 중에 눈에 띠는 직업은 과거시험장에서 시험을 보는 사람을 대신해서, 좋은 자리를 잡아주는 선접꾼과 답안지에 써야 할 문장을 구상해주는 거벽, 그리고 거벽의 문장을 받아 답안지에 써주는 사수라는 직업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는 당시 과거시험의 부정행위가 얼마나 극심한지를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겠다. 책 속에 설명된 각종 직업들은 시대를 달리하면서 일부의 경우 사라져 버린 직업이 적지 않지만, 반대로 그 당시에 존재했던 직업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것도 있어서, 독자들이 직업의 유래를 찾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언급했듯이 추노객이라든지 매품팔이, 거벽과 같은 직업이 그 시기에 횡행했음을 볼 때, 당시 양반사회의 모습이 얼마나 부패되어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선후기 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한 계층 간의 분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긴 했지만, 그 안에서 빈익빈부익부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면서 이것이 결국 사회적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음은, 바로 장빙업자나 무뢰배 같은 직업이 생성되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듯하다. 그래서 이 책의 내용을 통해 독자들은, 당시 직업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조선시대의 사회상이 어떠했는지를 나름대로 충분히 유추해볼 수 있지 않나 싶다. 역사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바라보고 평가한다는 것은 권장할만한 일이다. 이 책은 그러한 의미에서 독자들에게 조선시대 사회의 일면을 조금은 다른 시각에서 들여다볼 수 있는 유익하고 흥미로운 내용을 담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독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한번 읽어보면 좋을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