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자격 - 내가 제대로 키우고 있는 건가
최효찬.이미미 지음 / 와이즈베리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들이 흔히 알고 있는 위대한 업적을 남긴 많은 세계 유명 인물들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그들의 배경에 언제나 훌륭한 부모들이 존재해 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그들이 세계적인 위치에 오르기까지 그 과정에 부모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우리가 간접적으로나마 체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녀를 둔 부모의 입장이라면, 적어도 그들처럼은 아니더라도, 거의 예외 없이 자신의 아이들이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더 잘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들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그것이 애초 부모들이 생각하고 기대했던 만큼 뜻대로 잘 되지 않는다는데 있다.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는, 어떤 좋지 않은 조짐이 보일 때에 그 당시의 문제점에 대해 바로 고치려고 하기보다 그럭저럭 대충 넘어간다는 것이다. 그리고는 막상 큰 문제가 생기게 되면 그때서야 뒤늦은 후회를 한다. 하지만 엎어진 물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듯이, 이를 원래대로 돌려놓기는 힘든 노릇이다. 그런데 이것은 자녀교육의 문제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정작 그때는 이런 저런 이유로 방치하다가, 부모의 기대나 혹은 일반적인 상식에 어긋나는 아이로 성장했을 때, 나중에서야 비로소 후회를 하는 것처럼 말이다. 물론 아이가 부모의 바람대로 성장하지 못한 이유에는, 나름대로의 여러 가지들이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개선되지 않고 있는 현 공교육의 문제점이나 주변의 그릇된 친구들과의 교제, 그리고 TV나 게임 같은 외부적인 환경이 하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도 있겠지만, 다른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부모가 자녀를 향한 양육의 온당한 마음가짐이나 자세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을 해본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들을 교육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고들 말한다. 그렇다면 어렵다고 하는 그 문제점의 원인은 과연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 책은 바로 그러한 문제에 대한 것이 무엇인지를 들여다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대책을 강구할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주목을 이끈다. 이 책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대개 많은 부모들이 자녀교육에 대해 흔히 저지르게 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낱낱이 지적하고 언급하면서, 이를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조금 더 현명한 자녀의 양육이 될 것인가를 두고, 실제의 여러 사례들을 토대로 문제점을 깊이 생각해보고자 했다. 자녀를 둔 부모의 입장에서 이 책이 유익하게 느껴지는 것은, 저자의 자녀의 양육에 대한 솔직 담백한 경험담과 더불어, 우리 주변에서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는 아이들과 관련한 실질적인 내용을 다루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책 속에는 우선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날카로운 시선으로 비판함과 동시에, 이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는 많은 부모들의 심정을 대변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띤다. 명문대 위주의 학벌주의가 마치 당연한 것처럼 횡행하다보니, 어쩌면 사교육의 열풍은 당연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이로 인해 강남 8학군, 과열된 특목고의 입시경쟁, 그리고 조기유학이라는 결코 긍정적이지 못한 현상들이 나타나고 이제는 점차 고착화되어 가고 있다는 점은 심히 우려할 만 일로 여겨진다. 결국 이러한 불편한 시대적 유행은 때로 학교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공부를 못하는 아이를 바보 취급하여 일찍이 패배주의자로 낙인을 찍어버리는 악영향을 낳고 있기에 부모들은 이 부분에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래서 저자의 이러한 지적에 대해 우리가 생각해 볼 것은, 이러한 문제를 두고 획기적인 교육개혁은 고사하고 수수방관하고 있는 교육과 관련한 정부기관의 안일한 정책에도 문제가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이점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도 어찌 보면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의 교육관에 대한 인식의 문제도 한몫을 하고 있지 않나 싶은 생각이다.


국가와 사회의 구성원으로 건강한 하나의 인격체를 완성한다는 점에서, 부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아 보인다. 그런데 다른 나라들의 부모들과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자녀양육은 조금의 차이점이 있는듯하다. 오랜 유교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인지는 몰라도, 아이들에 대한 집착이 여타의 나라들에 비해 유독 강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부모들은 자녀들의 사소한 문제들까지를 간섭하려들며, 아이의 생각과 의견을 존중하기보다 부모의 의중이 더 많이 반영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문제는 이러한 부모의 과잉보호와 강제적이고 편향적인 양육으로 인해, 자녀가 자그마한 일에 직면했을 때에도 이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부모에 의존하는 의지박약한 상태의 좋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이다. 어떤 아이들은 가장 존경하는 사람을 자신의 부모라 여기며 당당하게 말하지만, 반면에 다른 아이들은 자신의 부모를 결코 닮고 싶지 않은 사람으로 꼽기도 한다. 이것은 아이가 부모를 생각하는데 있어 그 편차의 정도가 얼마나 큰 것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저자가 책의 내용에서 강조했듯이 아이의 양육에 있어 진정 부모다운 자격을 얻기 위해 무엇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은, 아이를 향한 일방적인 사랑은 절제된 사랑으로 대체되어야 하며, 부모의 이기적인 욕심은 조금 내려놓고 아이를 신뢰하며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는, 공감을 넘어 부모들이 깊이 음미해봐야 할 내용이 아닐까 싶다. 더불어 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교육함에 있어 아이의 꿈이 무엇인지, 아이의 적성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올바른 하나의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시키기 위해, 현재 무엇을 급선무로 삼아야 하는가를 면밀하게 검토한 후, 자녀와 함께 자유로운 소통을 이어가는 부모의 실천적 행동역시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기본적인 덕목으로 중시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